
경기도, 정부에 파주ㆍ의왕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신청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공모 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4-10 15:07 댓글 0본문
관련 자료) 파주시 공공주도 모델
관련 자료) 의왕시 민간주도 모델
경기도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 중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대상지로 파주시와 의왕시를 공식 신청했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특화지역은 지역 내에서 생산한 전력을 한국전력공사를 거치지 않고 해당 지역에서 자체 소비하는 ‘분산에너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이다.
이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근거로 한다.
특구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 내에서는 분산에너지사업자가 발전과 판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요금 자율화가 허용돼 기업과 시민 등 전력소비자가 유리한 전기요금으로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 사업에는 파주와 의왕시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선 파주시는 ‘한국형 CCA(지역 선택형 전력구매)’ 전력소매사업 모델 조성에 도전한다.
파주도시관광공사를 전력소매사업의 주체로 지정해 총 17메가와트 규모의 공공 재생에너지 생산기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업과 시민에게 ‘알뜰전기 요금제’, ‘RE100 요금제’ 등 맞춤형 전력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이렇게 되면 파주LCD산단과 출판산단 등 전력소비가 집중된 지역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재생에너지를 공급해 중소기업의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대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번 모델과 유사한 구조는 일본 돗토리현과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에서 현재 추진하고 있다.
만일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국내 전력산업을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왕시는 민간이 주도하는 모델을 계획하고 있다.
친환경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즉 전력의 사용자가 생산자의 역할도 하는 ‘도심형 저장전기판매사업’이다.
전력이 남는 심야 시간이나 잉여 신재생에너지를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저장한 후 수요가 많은 시간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 모델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소하고, 기존 전력시장 구조를 보완하는 새로운 수익모델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포화 상태인 경기 북부(연천) 전력계통의 부담을 완화하고, 추가적인 분산에너지 유입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경기도는 이번에 특구로 지정될 경우 파주시의 공공주도형 모델과 의왕시의 민간주도형 모델을 병행 실증하기로 했다.
이후에는 이를 전국 확산을 위한 대표 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시민과 기업이 에너지 생산과 소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구조로 전환하고, 지속가능한 지역기반 에너지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특화지역 계획안에 대한 주민공람은 4월 11일부터 5월 11일까지 한 달간 진행된다.
공람은 경기도청 누리집과 에너지산업과, 시청 민원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전자우편 또는 서면을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도는 수렴된 주민 의견을 반영해 계획안을 보완하고, 특구 지정 이후에는 직접 전력거래 특례 등 제도적 기반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사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 또는 경기도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연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장은 이와 관련 “경기도는 에너지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그동안 ‘경기 RE100’ 정책으로 국가 에너지수급 균형에 최선을 다해 왔다”고 했다.
특히 “경기도의 특구 지정은 우리나라 전력계통 부담을 줄이고, 지역경제와 전력시장 구조 전환으로 확장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