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개발 ‘적극’ 시동.. “완전히 판 바꾸자”
김동연 지사, ‘주도성’ㆍ‘전향성’ㆍ‘지역중심’ 3대 원칙 강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8-05 16:21 댓글 0본문
- 8월 중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추진 TF’ 발족 예정
사진) 회의 모습
경기도가 역사적인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개발에 시동을 걸었다.
누가 봐도 초대형 프로젝트이면서 대역사(大役事)다.
주로 경기북부에 밀집해 있는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개발은 현 정권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안이다.
지난 대통령 선거 때의 공약사항이었다.
실제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1일 국무회의에서 국방부에 적극 검토를 지시한 바 있다.
경기도는 이에 대해 민선 8기 ‘경기북부대개조’ 정책에 기조를 같이 한다고 보고 반기고 있다.
이는 “경기도 발전을 위해서 전에 없는 좋은 기회”라는 것이다.
경기도는 5일 이와 관련 경기도 현안 대책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는 김동연 도지사가 주재했다.
김 지사는 여기에서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을 완전히 판을 바꾸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주도성’과 ‘전향성’, ‘지역중심’의 개발을 위한 ‘3대원칙’을 제시했다.
개발 의지는 구체적이었다.
먼저 ‘주도성’이다.
이제까지의 다소 수동적이고 중앙의존적인 방침에서 벗어나 경기도가 할 일을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도가 갖고 있는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미군 반환공여구역 뿐만 아니라 군 유휴지별로도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개발 방향을 수립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무엇보다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가 먼저 더 큰 역할을 할 것을 강조했다.
다음은 ‘전향성’이다.
지금까지 중앙정부에 무엇인가 해달라고 지원을 요청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그에 앞서서’ 경기도가 전향적으로 무언가를 실행 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정부ㆍ동두천시 등이 먼저 TF를 만들어 지역에 특화된 반환공여구역 개발 방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 정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이 연말 안에 발표가 되면 북부 미군 반환공여구역과 어떻게 연결해 계획을 잡아야 할지에 대해 아주 전향적인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도 했다.
마지막으로 ‘지역중심’에 대해서는 “어떤 곳은 산업 또는 기업 중심의 개발이 되어야 하고, 어떤 곳은 문화 중심의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지역주민과 지역의 특성에 맞도록 미군 반환공여구역을 개발해서 지역의 경제ㆍ문화ㆍ생활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경기도는 이번 달 ‘경기도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활성화 추진 TF’를 공식 발족할 예정이다.
김대순 행정2부지사가 단장을 맡는다.
여기에서는 ▲자체개발방안 마련 ▲국방부와의 협력 ▲국회와의 특별입법 등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반환공여구역에 대해 ‘무상양여’가 가능하도록 특례규정을 신설하거나 파격적인 임대료로 장기 임대하는 방안 등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20년 이상 장기 미 반환 상태로 있어 도시발전을 저해한 구역에 대해서는 ‘특별 입법’을 통해 ‘특별한 국가보상’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경기도내 반환공여구역은 의정부ㆍ파주ㆍ동두천ㆍ하남ㆍ화성 등 5개 시에 산재해 있다.
또 전국의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중 개발 가능한 구역은 경기도에만 22개소 약 72.4㎢, 2193만 평에 이른다.
이는 여의도 면적인 2.9㎢, 87만 평 보다 25배 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