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접경지역 빈집 정비사업’ 대상 지역, 내년부터 가평군 추가
기존 고양ㆍ파주ㆍ김포ㆍ양주ㆍ포천ㆍ동두천ㆍ연천군 포함 모두 ‘8곳’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8-12 13:37 댓글 0본문
사진) 경기도청북부청사 전경
“‘접경지역 빈집 정비사업’은 공간의 재구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본연의 목적이다”..
경기도가 현재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도는 최근 사업 대상지역에 가평군을 내년부터 추가하기로 했다.
그래서 이제 기존 고양ㆍ파주ㆍ김포ㆍ양주ㆍ포천ㆍ동두천ㆍ연천군을 포함해 모두 8곳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3월 접경지역에 편입된 가평군을 사업 대상에 포함하기 위해 올 하반기 사전 수요조사를 거쳐 오는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빈집 정비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도는 올해도 7개 시ㆍ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했다.
그리고 이어 모두 32곳을 빈집 정비사업 대상으로 선정했다.
해당 빈집에는 3억 3천만 원의 예산을 투자해 철거와 공공활용을 추진한다.
철거는 개당 최대 2천만 원, 나대지 공공활용은 개당 최대 1천만 원까지 지원한다.
빈집 정비는 단순히 노후ㆍ위험 주택 철거를 넘는 개념이다.
그것은 마을쉼터ㆍ소공원ㆍ공공주차장 등 주민 공동체의 중심 공간으로 재구성해 정주여건을 개선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제로 2018년부터 현재까지 510채의 빈집을 마을정원과 주차장 등 공공장소로 변경했다.
이에 많은 주민들은 이번 사업이 그동안 지역의 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가평군도 지형적 특성에 따른 관광자원, 도심과의 거리 등을 고려할 때 앞으로 빈집 철거와 나대지 활용의 파급력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상수 경기도 균형발전기획실장은 이와 관련 “올 하반기 사전조사를 통해 가평군 내 빈집 현황과 주민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