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모든 하천 한눈에 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2-10-08 07:52본문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는 국가 및 지방하천의 하천정보와 하천정비(제방) 현황 등 통계자료를 수록한 한국하천일람을 발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에 배포하고 웹사이트(http://rhms.river.go.kr)를 통해 공개했다.
한국하천일람은 1982년 최초 발간 이후 2000년부터 수치지도 및 GIS기법을 적용한 전국 하천 기초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매년마다 수정 발간되고 있다.
올해 발간된 하천일람은 기존 하천관리청의 자료 단순집계방식을 탈피해 하천이력관리시스템(RHMS)을 이용한 도면 및 현황표 기반의 상향식(Bottom-up) 정보 구축 방식 등 객관적이고 높은 정확도를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한국하천일람에는 국가하천 62개소와 지방하천 3775개소에 대한 유수의 계통(수계), 하천지정근거와 하천의 구간(기·종점의 위치, 치수계획), 하천연장, 유로연장, 유역면적, 하천정비(제방) 현황이 조사되었다.
구 분 |
개소 (개) |
하천연장(km) |
하천정비(제방) 현황 | ||||||
합계 |
제방정비완료구간 |
제방보강필요구간 |
제방신설필요구간 | ||||||
(km) |
(km) |
(%) |
(km) |
(%) |
(km) |
(%) | |||
합 계 |
3837 |
2만 9840.55 |
3만 1249.34 |
1만 7057.24 |
54.58 |
7319.18 |
23.42 |
6872.92 |
22.00 |
국가하천 |
62 |
2997.32 |
3172.24 |
2545.99 |
80.26 |
513.01 |
16.17 |
113.24 |
3.57 |
지방하천 |
3775 |
2만 6843.23 |
2만 8077.10 |
1만 4511.25 |
51.68 |
6806.17 |
24.24 |
6759.68 |
24.08 |
2012년 7월 1일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구역에 편입되는 하천에 대한 정보를 최초로 포함시켰다.
해당 하천은 금강(27.71㎞), 미호천(10.36㎞)의 국가하천 2개소(38.07㎞)와 조천, 곡교천 등 지방하천 42개소(196.21㎞)로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해 충남(연기군 전체, 공주시 일부)과 충북(청원군 일부)내 관할하천의 변동이 있다.
하나의 하천을 2개 이상 하천관리청에서 관할하는 하천은 국가하천 17군데(1,797.58㎞)와 지방하천 81군데(1,572.10㎞)로 해당 지자체간 긴밀하고 원활한 협조를 통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전년도 대비 하천의 지정고시 및 지역명칭 변경으로 울산 상천천, 울산 심천천, 경남 황산천 3곳의 하천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신규지정 및 소하천 승격에 따라 충남 중교천(2.87㎞), 대구 대명천(7.50㎞), 광주 서방천(1.20㎞), 강원 신촌천(2.80㎞) 4곳의 지방하천 증가로 총 14.37㎞가 늘어났다.
전국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고 있는 하천명은 대곡천으로 13군데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금산천 11군데, 남천·금곡천·신흥천 10군데로 확인되었다.김판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