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건축물은 총 7,191,912동이고 . 면적은 37억 5천 4백 만㎡ 이다.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비/눈 60%
    • 4.0'C
    • 2024.11.27 (수)
  • 로그인

웰빙 TOP뉴스

전국 건축물은 총 7,191,912동이고 . 면적은 37억 5천 4백 만㎡ 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9-02-07 08:44

본문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말 전국 건축물 동수는 전년 대비 65,386동(0.9%) 증가한 7,191,912동, 연면적은 112,194천㎡*(3.1%) 증가한 3,754,127천㎡라고 밝혔다. 

* 서울 63빌딩 연면적(238,429㎡)의 470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48,353천㎡(2.9%) 증가한 1,690,064천㎡이고, 지방은 63,840천㎡(3.2%) 증가한 2,064,062천㎡이다. 

용도별 면적을 살펴보면, 상업용이 3.7% 증가한 814,626천㎡(21.7%)으로 가장 컸고, 주거용은 3.1% 증가한 1,772,232천㎡(47.2%), 문교·사회용은 3.0% 증가한 339,360천㎡(9.0%), 공업용은 1.3% 증가한 401,516천㎡(10.7%)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상업용이 4.1% 증가한 400,880천㎡(23.7%), 주거용은 3.2% 증가한 828,917천㎡(49.0%), 문교·사회용은 2.1% 증가한 148,176천㎡(8.8%), 공업용은 0.3% 감소한 144,243천㎡(8.5%)이며, 


지방은 문교·사회용이 3.8% 증가한 191,184천㎡(9.3%), 상업용은 3.2% 증가한 413,746천㎡(20.0%), 주거용은 3.0% 증가한 943,315천㎡(45.7%), 공업용은 2.2% 증가한 257,272천㎡(12.5%)이다. 

세부 용도별 건축물 현황 

1.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아파트가 1,090,270천㎡(61.5%)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334,154천㎡(18.9%), 다가구주택 167,841천㎡(9.5%), 다세대주택 125,116천㎡(7.1%), 연립주택 41,572천㎡(2.3%)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아파트가 545,856천㎡(65.9%)로 가장 크고, 다세대주택 94,090천㎡(11.4%), 단독주택 85,439천㎡(10.3%), 다가구주택 75,323천㎡(9.1%), 연립주택 22,995천㎡(2.8%)이며, 지방은 아파트가 544,413천㎡(57.7%)로 가장 크고, 단독주택 248,714천㎡(26.4%), 다가구주택 92,518천㎡(9.8%), 다세대주택 31,025천㎡(3.3%), 연립주택 18,577천㎡(2.0%)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7.0%), 제주(36.5%), 경북(35.8%) 순이고, 다가구주택은 대전(16.1%), 대구(14.5%), 울산(12.2%)이며, 아파트는 세종(82.2%), 광주(74.0%), 부산(70.4%), 연립주택은 제주(10.7%), 서울(3.5%), 강원(2.6%), 다세대주택은 서울(14.6%), 인천(12.9%), 제주(10.5%)이다. 




2. 상업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 현황 

세부 용도별 면적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260,471천㎡(32.0%)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227,874천㎡(28.0%), 업무시설 134,705천㎡(16.5%), 판매시설 59,425천㎡(7.3%)이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17,667천㎡(29.4%)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01,452천㎡(25.3%), 업무시설 90,771천㎡(22.6%), 판매시설 34,542천㎡(8.6%)이며, 지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142,810천㎡(34.5%)로 가장 크고, 제1종근린생활시설 126,422천㎡(30.6%), 업무시설 43,934천㎡(10.6%), 판매시설 24,882천㎡(6.0%)이다. 

시도별 건축물 면적 비율 현황을 살펴보면 제1종근린생활시설은 전북(36.9%), 충북(35.2%), 경북(34.1%)이고, 제2종근린생활시설은 경북(40.3%), 충북(37.7%), 전북(37.6%)이며, 판매시설은 서울(9.6%), 대전(8.6%), 부산(8.4%), 업무시설은 서울(32.3%), 인천(18.3%), 세종(17.7%)이다. 

건축물 노후도 및 멸실현황 

준공 후 30년 이상된 건축물은 전국 2,666,723동으로 전체(7,191,912동)의 37.1%이다. 

지역별 건축물은 수도권이 27.5%, 지방은 40.8%로 지방의 건축물이 더 노후되었다. 

용도별 노후 건축물 현황을 살펴보면 수도권의 경우 주거용이 32.8%로 가장 많고, 상업용(25.1%), 문교·사회용(16.8%), 공업용(9.1%)이며, 지방 또한 주거용이 50.9%로 가장 많고, 상업용(26.2%), 문교·사회용(19.5%), 공업용(14.8%)이다. 

2018년 멸실된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2.9% 감소한 70,257동, 연면적은 1.3% 증가한 15,208천㎡ 이다. 

규모별, 소유주체별 현황 


우리나라의 최고층 건축물1)은 서울 “롯데월드타워(123층)”이며, 50층 이상 초고층 건축물은 전년대비 4개동이 증가한 107개동이다. 

현재 건설 중인 초고층 건축물은 부산 롯데타운(107층), 부산 해운대관광리조트(101층) 등이다. 
* ’17년 준공 초고층 건축물(1개동, 세계 최고 높이 순위 7위) 
- 서울특별시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 지상층수 123층 / 높이 555m 

층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층 건축물 4,410천동(61.3%), 2~4층 건축물 2,384천동(33.2%), 5층 건축물 170천동(2.4%)이다. 

면적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1백㎡미만 건축물 3,256천동(45.3%), 1백~2백㎡미만 건축물 1,599천동(22.2%), 3백~5백㎡미만 건축물 772천동(10.7%)이다. 

소유 주체별 건축물의 동수를 살펴보면, 개인 소유 건축물 5,688천동(79.1%), 법인 소유 건축물 474천동(6.6%), 국·공유 소유 건축물 196천동(2.7%)이다. 

인구 및 토지면적당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의 1인당 면적은 전년 대비 2.1㎡ 증가(70.34㎡→72.44㎡) 하였으며, 수도권은 1.58㎡ 증가(63.93㎡→65.51㎡)하고, 지방은 2.66㎡ 증가(76.64㎡→79.30㎡)하였다. 

지역별 1인당 건축물의 면적 현황을 살펴보면 주거용은 세종(39.83㎡), 충북(38.61㎡), 경북(38.03㎡)이고, 상업용은 제주(21.46㎡), 강원(19.31㎡), 서울(17.66㎡)이다. 

전국 토지면적 대비 총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전년대비 0.11% 증가한 3.1% (3,641백만㎡→3,754백만㎡)이며, 수도권은 0.41% 증가한 2.9%, 지방은 0.07% 증가한 3.2%로 확인되었다. 

시도별 토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은 서울이 92.0%로 가장 크며, 다음은 부산(30.4%), 대전(20.2%), 광주(20.0%)이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주거용 : 단독, 다가구, 다중주택, 연립, 다세대, 아파트 
상업용 : 근린생활, 자동차관련, 판매, 운수, 숙박, 업무시설 등 
공업용 : 공장 
문교·사회용 : 의료시설, 학교, 문화시설(극장 등)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업무시설 : 공공업무시설,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 통계자료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통계자료의 작성은 2018.12.31. 기준 자료이다.김판용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