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잡초 제거로봇 현장 시연…내년 농가 보급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7.27 (일)
  • 로그인

웰빙 TOP뉴스

논 잡초 제거로봇 현장 시연…내년 농가 보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5-07-24 10:51

본문



벼농사 제초로봇이 영농 현장에 투입됐다.

농촌진흥청은 22일 충남 당진 대호간척지에서 벼농사 제초로봇을 영농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현장시연회를 열었다.

벼농사 제초로봇은 농업 인구 고령화와 농촌 노동력 부족 심화로 인한 논 잡초 제거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개발됐다.

이번 현장연시회에서는 지난해 개발한 궤도형 제초로봇과 올해 새롭게 개발한 바퀴형 제초로봇을 선보였다.

궤도형 제초로봇은 전기모터와 가솔린엔진을 결합해 약 2kW 하이브리드 동력을 탑재했으며, 무논에서 5시간∼6시간 연속 작업을 할 수 있다. 10a의 논 잡초를 없애는데 1시간 정도 걸린다.

바퀴형 제초로봇은 무논 주행용 바퀴를 부착하고 14.5kW의 내연기관을 동력으로 사용해 간척지 같은 연약지에서도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10a의 논 잡초를 없애는데 0.8시간이 소요된다.

두 제초로봇은 모두 정보통신기술, 위성항법기술, 레이저센서 등을 이용해 논에서 모열을 감지한 뒤 GPS가 미리 계획한 경로를 따라 자율적으로 주행한다. 이때 모를 밟지 않고 논바닥을 긁어 잡초의 발아를 막고 생육을 억제해 제초작업을 한다.

특히, 바퀴형 제초로봇은 무인 운전은 물론, 사람이 타고 운전할 수 있다. 또, 본체 뒤에 붙이는 작업기를 교체할 수도 있어 작업기 용도에 따라 제초 작업, 비료나 농약 뿌리기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현장연시회를 통해 농업인과 관계자의 의견을 모아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농업인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개량할 예정이다.

또한, 제초로봇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하고, 2016년에는 일반 농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시범 보급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양호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현장연시회는 농업 로봇의 영농 현장 실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농업용 로봇 산업이 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김정용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