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가는 ‘자율주행차’ 2020년 상용화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5-05-07 04:47본문

오는 2020년 쯤 우리나라에서도 자동차 스스로 부분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6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자율주행차 상용화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방안은 자동차 선진국에 비해 다소 뒤떨어진 자율주행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한편 자율주행차의 조속한 상용화를 위해 규제 개선 등 제도를 정비하고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란 운전자의 조작 없이 목표지점까지 스스로 주행환경을 인식해 운행하는 최첨단 자동차로 위성항법·센서 등으로 위치를 측정하고 주행환경을 인식, 연산장치로 가감속·차선변경 등 자율주행을 제어한다.
현재 기술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해외 자동차제작사들은 자율주행 3단계 기술을 일부 확보한 반면 현대차는 올해 말 2단계 수준인 고속도로 주행지원시스템을 양산할 계획이다.
![]() |
제도적으로 국제 자동차기준(UN기준)에서 자율조향시스템의 금지와 함께 제네바 교통협약에서 운전자의 항시 조작의무를 부여해 왔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자율조향시스템 설치를 금지하고 운전자 향상 조작을 전제해 오고 있다.
또한 주요 자동차 선진국 중 자율주행차의 정식 판매나 운행을 허용한 나라는 없으나, 시험운행 허가요건을 마련하는 등 정부차원에서 시험운행을 지원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시험운행 허가요건이 없는 실정이다.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자율주행차 상용화 지원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규제개선 및 제도정비
우선 우리 실정에 맞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시험운행을 위한 허가 요건을 마련하고, 시험운행시 자율주행시스템 장착을 허용하는 등 규제를 과감히 개선하기로 했다.
또한 2020년 상용화를 대비해 자율주행장치 관련 자동차 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보험상품과 리콜·검사 제도를 마련하는 등 제도를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 자율주행 지원인프라 확충
레이더 등 센서의 신뢰성과 인지 범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밀 수치지형도를 제작해 차선정보를 제공하고, 정밀 위성항법 기술 개발을 통해 GPS 위치 정확도를 개선한다.
도로면 레이더를 통해 수 km 전방 교통정보를 차량에 제공(V2I) 할 수 있는 시범도로와 차량간 교통정보를 교환(V2V) 할 수 있는 전용 주파수를 배분하는 등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 실현을 위한 인프라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 기술개발 지원
자율주행차에 대한 국내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미래창조과학부와 협력, 우리 중소부품업체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를 추진하고 다양한 교통변수의 경험이 가능한 한국형 자율주행 실험도시를 구축하며 일반도로 시험운행을 위한 실증지구를 지정하는 등 시스템 및 차량의 성능을 검증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제어장치와 통신망 등 교란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자동차기준에 보안기준을 마련하며 센서 및 통합제어 등 핵심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해 나가도록 지원한다.
근거리 운행시범 서비스 사업을 통해 자율주행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등 기술개발도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추진일정과 관련, 올해는 우선 범정부 지원체계를 구축해 레벨3 기술개발에 착수하고 2017년 말까지 정밀 수치지형도 등 관련 인프라를 조기 구축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는 레벨3 기술의 대규모 시범운행을 통해 자율주행차의 기술력과 함께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입증할 계획이다.
2020년에는 상용화 제도를 완비한 후 자율주행 레벨3 수준에서의 부분적인 상용화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생산과 판매가 이뤄지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면 ▲산업 융복합에 따른 부가가치 제고 ▲일자리 창출 ▲ 2025년 고속도로 사망률 50% 감소 및 교통사고비용 약 5000억원 절감 ▲하루 평균 50분, 연간 12일의 여유시간 창출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국토부 맹성규 교통물류실장은 “이번 자율주행차 상용화 지원 방안을 통해 선제적인 제도 정비와 인프라 확충 등 범정부적 지원으로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획기적으로 앞당기고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자동차·IT·통신·위성항법 등 융복합 산업 육성을 통해 신성장 동력으로서 부가가치 증대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이바지하고 자율조향장치가 졸음운전 등 운전자 과실을 예방함으로서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것”이라며 “통행시간을 업무·여가 시간으로 활용해 삶의 질과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김판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