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버스 등 안전점검 결과 공개 의무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5-05-12 08:56본문

앞으로는 비행기, 버스, 스포츠 경기장 등 공공시설의 안전점검 결과가 인터넷에 공개된다. 이를 이행하지 않는 사업자에게는 최대 1억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중요정보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20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의 아시아나 항공기 활주로 이탈 사고에 이어 지난해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세월호 침몰과 같은 대형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으나 소비자들은 각종 시설물을 안전 여부를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공정위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해 사고 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업종을 대상으로 안전정보를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항공기나 시외·전세버스 사업자는 해당 운송수단의 제조년월, 안점점검이나 수리·개조승인이 이뤄진 시기 및 결과, 피해가 발생했을 때의 보상기준 등을 소비자가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호텔·콘도 등 관광숙박업소나 스포츠경기장, 공연장 같은 대형시설물 운영자도 건축물 사용승인서와 각종 점검결과를 공개해야 한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개정안을 통해 항공·버스 및 시설을 이용할 때 안전 정보를 사전에 알 수 있게 되고 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등 소비자 안전 보호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공정위는 컴퓨터, 휴대전화, 카메라 등의 AS 사업자가 제품을 수리할 때 재생부품을 사용하는지의 여부도 홈페이지와 사업장에 공개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전자 제품의 A/S 이용 시 재생 부품 사용 여부를 소비자가 사전에 알 수 있게 돼 신품과 재생품의 가격 비교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공정위는 이와 함께 ‘모자보건법’에서의 산후조리원 이용 요금 및 환불 기준 등의 정보도 홈페이지에 게시하도록 의무화했다.김판용기자
- 이전글100일간 공공부문 우월적 지위 남용 특별신고 기간 15.05.12
- 다음글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건강보험 진료환자수 58,121명 중 66%가 10대” 1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