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산업생산 13.7% 상승…선행지수도 반등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16.0'C
    • 2024.06.03 (월)
  • 로그인

웰빙 TOP뉴스

1월 산업생산 13.7% 상승…선행지수도 반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1-03-07 07:37

본문

1.

1월 산업은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 소매, 투자 등의 지표가 모두 고르게 상승하면서 호조세를 보였다.

또 대표적 경기지수인 동행지수와 선행지수가 14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실물경기가 다시 회복 흐름을 재개하는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이 3월3일 발표한 1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생산부문에서 광공업생산은 전월에 비해 4.6% 증가해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년동월비로는 작년 1월보다 13.7% 증가해 4개월째 두자릿수의 상승률을 이어갔다. 광공업생산 전년동월비는 지난해 9월(2.9%) 한자리수 증가로 내려앉았다가 10월 13.4%로 반등해 11월 11.2%, 12월 10.6%, 올해 1월 13.7% 등의 흐름을 보였다.

특히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84.8%로 전월보다 2.7%포인트 상승하면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0년 1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제조업 재고율 지수(재고/출하비율)는 출하가 전월대비 4.4% 증가한 반면, 재고가 3.7% 감소하면서 89.8%를 기록해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재고율 지수는 작년 10월 100%를 넘었다가 11월 99.1%, 12월 97.4%로 조금씩 하락하다가 이번에 큰 폭으로 떨어졌다.

통계청은 제조업 재고출하순환도를 보면 출하의 증가폭은 확대되고 재고는 축소된 모습이라며, 순환도상으로는 경기회복 상승국면으로 전환된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증시 호조, 명절 수요로 금융.보험, 도.소매업 실적이 개선되면서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4.6% 증가하면서, 작년 10월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비스업 중 도·소매업은 자동차 및 부품판매업, 소매업 등이 증가해 전월보다 4% 상승했고, 전년동월대비로도 신차효과, 폭설로 인한 자동차 사고 증가로 자동차 부품판매가 늘었고 한파로 인한 의복, 난방기기가 호조를 나타냈으며 설 명절 대비 식료품 등의 판매가 호조를 나타내 전년동월보다 8% 증가했다.

금융 보험업은 주식거래의 대금증가, 카드 결제의 대금증가로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증가해 전월보다 3.8%, 전년동월보다도 7.8% 증가했다.

소비부문에서 소매판매는 승용차의 신차효과, 설 명절에 대비한 음식료품의 소비증가, 한파 등으로 인한 의복 소비 판매호조로 전월보다 4.3% 증가했다. 작년 1월 대비로도 스마트폰 등 통신기기, 난방기기, 의복 등에서 호조를 나타내서 10.8% 상승했다.

설비투자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에서 투자 호조를 보여 전월보다 4.5% 증가했다. 작년 1월과 비교해서는 항공기 투자는 줄었으나, 반도체제조용장비, 크레인 등 기계류 투자가 늘어 22.3% 상승했다.

국내기계수주는 공공부문에 있어서는 지난해 1월 핵융합 연구소의 열교환기 등이 증가해서 기저효과를 나타내서 감소를 보였으나, 민간부문에 있어서는 반도체 조립장비, 차량용 에어콘 등에서 수요가 증가해 전년동월보다 20.2% 증가했다.

건설기성은 주택, 플랜트 공사실적 부진으로 전월보다 5.6%, 전년동월보다 8%씩 감소했다. 건설수주는 민간부문의 주택, 사무실·점포 등의 발주가 줄고 공공부문에서도 치산·치수, 도로·교량 등에서 줄어 전년동월보다 33.9% 감소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광공업생산, 서비스업생산, 도소매업 판매 등 모든 지표가 증가하여 전월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재고순환지표, 건설수주액, 구인구직비율, 기계수주액 등이 증가해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1월 생산활동동향’에 대한 분석자료를 통해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고 OECD 선행지수가 4개월 연속 증가하는 등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되고 있어 국내 실물경기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기재부는 다만, 1월 산업활동 지표 호조는 설 명절 효과가 일부 선반영됐을 가능성도 있어 2월에 다소 조정을 받을 소지도 있다고 밝혔다.

또 물가 상승과 국제유가 상승 등 교역조건 악화에 따라 실질 구매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중동정세 불안과 중국 긴축가능성, 유럽 재정위기 장기화 등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등 하방위험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앞으로 우리 경제가 안정기반 하에 경기 및 고용 회복세가 지속되도록 국내외 경제여건을 면밀히 점검하고 여건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는 상반기 중에는 물가 리스크가 큰 상황이므로 경제정책의 우선순위를 물가안정에 두고 인플레 심리 차단과 서민생계비 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특히 고유가 가능성에 대비해 향후 유가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단계별 계획을 수립해 대응키로 했다.
유광식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