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컵 몇 번까지 써봤니?”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4.20 (일)
  • 로그인

웰빙 TOP뉴스

종이컵 몇 번까지 써봤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1-09-16 06:44

본문



 

“이 빌어먹을 컵을 어떻게 할 거요?”

세계적인 커피회사 스타벅스의 하워드 슐츠 회장은 지난 몇 년간 주주총회 때마다 주주들로부터 이런 질문을 들어야 했다고 한다. 전세계 매장에서 매일같이 쏟아지는 일회용컵들. 이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더 이상 스타벅스의 성공을 기대할 수 없다는 우려였다.

비단 스타벅스 뿐만 아니라 종이컵 등의 일회용품이 ‘처지 곤란’이 된 지 오래이다. 쓰기는 편기하지만, 한번 버려지고 난 뒤에는 그것이 썩고 다시 자원이 되는데에는 엄청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예컨대 한 개의 종이컵이 다 썩는 데에는 자그만치 30년이 걸린다. 다시 만들려고 하면 종이컵 1톤 기준 20년생 나무 20그루가 필요하다. 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플래스틱과 스티로폼은 분해돼 없어지는데 무려 500년 이상이 소요된다. 쓰는 건 잠깐이지만, 만들고 버리는 건 그 이상인 셈이다.

9월은 자원 순환의 달

몇 해 전 정부는 매 9월 6일을 ‘자원순환의 날’로 정하고, 자원순환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를 재정비할 것을 권했다. 폐자원 에너지화, 폐금속 재활용 등 자원의 절약(Reduce)과 재사용(Reuse), 재활용(Recycle) 등 자원순환 정책을 폭넓게 알리고, 법국민적인 녹생생활 실천운동의 계기로 삼자는 뜻이었다.

이후 매년 9월이면 자원순환을 생각하는 행사들이 도시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올해도 예외는 아니여서 지난 6일부터 각종 토론회와 부대행사들이 연이어 막을 올리고 있다. 폐자원에너지 시설의 효율적 활용이나 폐기물 감량 방안 등을 모색하는 전문가 토론회부터 일반시민들이 부담없이 즐기며 참여할 수 있는 나눔장터 등이 그것이다.
오는 24일에도 자원절약과 재활용, 나눔 등을 주제로 한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가 양재시민의 숲에서 예정돼 있으며, 종이팩을 이용한 다양한 작품들도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선보일 준비를 하고 있다.

생활 속 자원순환 실천방법

하지만 굳이 자원순환의 날을 생각하지 않더라도, 일상 생활 속에서 자원을 아끼는 방법은 많다. 재활용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제품은 솔선해 다시 쓰는 것이다. 또한 쓰레기의 양을 줄이기 위해 음식은 늘 먹을 만큼만 조리하고, 가능한 종이컵이나 나무젓가락 등의 일회용품은 쓰지 않는다.

자원순환의 첫 걸음은 쓰레기 분리수거
자원순환의 첫 걸음은 쓰레기 분리수거.

쇼핑할 때는 꼭 비닐봉지 대신 장바구니를 이용하고, 생활용품을 구입할 때는 리필제품을 애용해 용기 쓰레기를 줄인다. 또한, 고장 난 가전제품이나 가구는 바로 버리기 보다는 수리해서 다시 사용하고, 잘 입지 않는 옷이나 신발, 장난감은 이웃과 나눠쓴다. 환경을 오염시키는 폐건전지, 폐휴대폰, 폐의약품 등은 꼭 따로 분리해 버린다. 늘 머릿로는 누구나 잘 알고 있지만 막상 실천하기는 쉽지 않는 바로 그것들이 자원순환의 방법이다.

폐자원 재활용률 1% 높이면 10만여명 무상급식

한 조사에 따르면, 하루에 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약 32만 9000톤에 이른다. 무려 5톤 차량 6만 5800대 분량이다. 하지만 이같은 폐자원에 대해 재활용률을 1%만 높이면 10만여명의 학생들이 1년동안 무상급식을 받을 수 있는 비용이 마련된다. 생활 속 작은 변화가 엄청난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우리가 무심코 버리는 물건의 60%는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경제도 살리고 환경도 지키고, 자원도 아끼는 1석 3조의 효과를 노려보자.
 
                                                                 김판용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