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틱장애 등 학습장애, 주관적 예단이 병을 키워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4.25 (금)
  • 로그인

웰빙 TOP뉴스

ADHD 틱장애 등 학습장애, 주관적 예단이 병을 키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1-07-15 07:46

본문



시험 기간이면 아이도 엄마도 전쟁이다. 조금이라도 더 시키려는 엄마와 조금이라도 더 놀려는 아이와의 ‘밀당(밀고 당기기)’은 끝이 없다. 그렇게 씨름하고 공부한 만큼 성적이 나와 주면 문제가 없지만 ‘한다고 하는데 성적이 도무지 오르지 않는 경우’엔 아이도 엄마도 낙담이 이만저만 아니다. 무작정 ‘산만하다, 집중력이 낮다’는 주관적 판단만 되풀이하다가 아이의 ADHD, 학습장애를 발견하지 못하고 악순환을 되풀이 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좀 더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를 위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학습장애란 정상 또는 정상 이상의 지능을 가졌음에도 학업성취도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장애가 있으면 읽기, 쓰기, 수학 등의 학업상 영역에서 문제가 생기며, 그 중 ADHD가 있는 경우라면 일상적인 생활도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학습장애를 유발하는 질병으로는 ADHD, 틱장애 등이 대표적. 대구 해아림한의원 김대억 원장은 “ADHD의 경우 산만하고 실수가 잦으며 한 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지만, 조용하고 별 문제가 없어보여도 성적이 최하위권인 학생이라면 ‘단순주의력장애(조용한 ADHD)’를 의심해 볼 수 있다”며 “ADHD 치료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학부모의 주관적 판단 때문에 적절한 조기 치료가 어려운 점”이라고 지적했다.

가정에서 비교적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간단한 기본 검사지로 자가 진단을 해 보는 것. 김 원장은 “학습장애 정도를 진단해볼 수 있는 ‘DSM-4’, ‘코너스 척도’ 등의 검사지는 인터넷에서 다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가진단용으로 활용해 봄직하다”며 “여기에서 기준에 해당된다면 좀 더 전문적인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ADHD 학습장애, 객관적인 평가가 선행돼야

ADHD, 학습장애의 경우 우선 정확한 평가가 선행돼야 하겠다. 전문클리닉의 경우 보통 기초설문검사와 의료진면담, 종합주의력검사, 뇌기능검사, 자율신경계진단 등을 실시한다. 뇌기능검사는 뇌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각 파형들이 뇌의 어떠한 영역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보여주기에, 뇌기능이 떨어진 부분에 대한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며, 이후 치료를 통해 뇌기능이 변화된 양상을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어 의학적 치료를 위한 의료진면담, 종합주의력검사 등을 통해 ADHD, 학습장애의 형태를 찾아 원인을 파악한다.

“대부분의 ADHD, 학습장애의 경우 뇌의 기능이나 밸런스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문제가 발생한 뇌 영역에 따라 치료법은 상이해진다.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 예를 들어 시각주의력, 청각주의력, 작업기억력 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김 원장의 설명이다.

ADHD와 함께 학습장애를 유발하는 또 하나의 대표 질환인 틱장애 역시 유사한 검사 및 치료과정을 겪는다. 경중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ADHD는 1년, 틱장애의 경우 6개월 정도의 치료기간이 걸리므로, 학부모의 인내와 노력이 필요한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성적 걱정 전에 아이 건강 체크부터

학습장애는 ADHD나 틱장애처럼 ‘특별한 이름이 붙어있는 질환’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비염이나 축농증, 아토피, 여학생의 경우 생리통 등도 심각하면 학습에 심각한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일상적인 질환 치료가 학습 장애를 예방하는 가장 첫 걸음이라는 것. 이 밖에 깊은 잠을 자지 못하는 수면장애는 집중력 저하는 물론 학습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고, 시험불안 증세도 우울증이나 화병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하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다.

김 원장은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기 전 시력이나 기초 예방 접종을 하는 것처럼 아무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더라도 6~7세 정도에 예방 차원에서 뇌기능 검사를 받아보길 권한다”며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학습장애도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아이의 건강을 먼저 살피는 것이 똑똑한 아이로 키우는 지름길임을 잊지 않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 김대억 원장(대구 해아림한의원, 학습클리닉 원장)               김판용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