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길 경사도 이용등급(난이도) 높아질수록 이용자의 운동 효과 증가한다!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7.31 (목)
  • 로그인

웰빙 TOP뉴스

숲길 경사도 이용등급(난이도) 높아질수록 이용자의 운동 효과 증가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7-30 08:08

본문

5258bde06ffd4e716dcc4f0bdac2cf21_1753830292_6595.jpg
5258bde06ffd4e716dcc4f0bdac2cf21_1753830295_4626.jpg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숲길 이용등급(난이도)이 높아질수록 이용자의 운동 효과도 증가한다는 운동생리학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산림청은 숲길 이용객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경사도, 거리, 노면 유형, 노면 폭, 안내표지 유무를 기준으로 ‘매우 쉬움’, ‘쉬움’, ‘보통’, ‘어려움’, ‘매우 어려움’의 5등급으로 구분해 공개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숲길 이용등급에 따라 이용자가 느끼는 운동강도와 생리학적 반응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국민대학교 스포츠건강재활학과 이대택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진은 40~50대 성인을 대상으로 ‘보통(경사도 17%, 9.6°)’, ‘어려움(경사도 22%, 12.4°)’, ‘매우 어려움(경사도 32%, 17.7°)’ 등 등급이 다른 숲길을 500m씩 걷게 한 뒤, 보행속도와 심박수, 운동 자각도 등을 비교·분석했다.

* 운동 자각도 : 개인이 운동 중 느끼는 주관적인 강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그 결과 ‘보통’ 등급의 평균 보행속도는 시속 약 3.65km, ‘어려움’ 등급은 2.96km, ‘매우 어려움’ 등급은 2.54km로, 이용 등급이 높아질수록 걷는 속도가 감소했다. 반면 ‘보통’ 대비 ‘매우 어려움’ 등급에서 심박수는 약 9%, 운동 자각도는 약 36% 더 높아져 운동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Forests』 16권에 게재되어 과학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이수광 연구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자연스러운 난이도의 숲길 걷기가 평지 걷기보다 운동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숲길이 주는 다양한 효과를 과학적으로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고 전했다.     김판용 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