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체중변화, 고도비만과 저체중으로 양극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2-10-11 07:38본문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는 제3회 비만예방의 날(10월11일)을 맞이하여 1998년∼2010년 한국인의 성별·생애주기별 체중 변화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 (1998∼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로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오상우교수 분석)
이에 따르면 전체 비만율은 정체되어 있으나 고도비만이 증가하고 여성의 경우 저체중이 증가하여 체중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년간 비만율은 30∼31% 수준에서 정체되고 있다.
※ 비만진단기준 : 체질량지수 ≥ 25 kg/m2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계산법 : 몸무게(kg) ÷ 키의 제곱(m2)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 비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지만 증가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고 여성은 2001년을 기점으로 소폭 감소 추세로 반전되었다.
하지만 고도비만의 경우는 12년간 약 2배로 증가(2.4%→4.2%)하였고, 남녀 모두 증가추세를 보였다.(남 1.7%→3.7%, 여 3.0%→4.6%)
※ 고도비만기준 : 체질량지수 ≥ 30 kg/m2
저체중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성별·생애주기별로 크게 달랐다.
※ 저체중기준 : 체질량지수 ≤ 18.5 kg/m2
6,70대 이상 남녀 모두에서 저체중군이 크게 감소하여 저체중·영양문제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20대∼40대 젊은 여성의 경우 저체중군이 크게 증가하여 건강 적신호를 보여준다. 이러한 경향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크게 나타났다.(20대 5.4%p, 30대 4.2%p, 40대 1.4%p 감소)
동국대학교 오상우 교수는 “저체중군은 골다공증 등의 질병과 영양불균형의 위험이 높으며 저체중군의 사망위험도가 비만군 못지않게 높다. 여성에서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저체중군 유병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비만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다이어트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최근 비만율의 변화양상은 고도비만 증가 등 서구화 경향과 젊은 여성의 저체중 문제 심화, 노인의 저체중 문제 개선으로 축약될 수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남성 및 고연령 여성의 저체중 개선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영양개선의 결과로 보인다. 한편, 서구형 고도비만의 증가 경향에 따라 고른 영양 섭취, 신체활동, 금연, 절주 등 건강생활 실천이 요청되고, 젊은 여성의 저체중 증가는 적정체중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한편 10월 11일부터 일주일간 ‘비만예방, 작은 습관의 변화로부터’를 슬로건으로 제3회 비만예방의 날 캠페인이 민관협동으로 진행된다.
대한비만학회가 주최하고 대한보건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건강관리협회 등이 후원하고 민·관 15개 단체가 참여할 뿐 아니라 보건소, 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 건강관리협회지부를 통해 전국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김판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