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까지 공공기관 조명 40% LED로 교체 > 주요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연말까지 공공기관 조명 40% LED로 교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3-07-03 08:17 댓글 0

본문



공공기관은 올해 조명의 40%를 절전효과가 큰 LED로 교체해야 한다. 신축 건축물은 30% 이상을 LED로 설치해야 한다.

 

또 연면적 1000㎡ 이상의 공공 건물은 신축·증축시 냉방수요의 60% 이상을 심야전력, 도시가스 등을 이용한 냉방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기관의 에너지소비 형태를 저소비형 구조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 규정(산업통상자원부 고시)’을 개정했다.

 

이번 개정을 통해 ▲전력 수요관리시설 설치 대상 확대 ▲LED 제품 교체 및 설치 비율 강화 ▲공공기관 에너지 진단 의무화 대상 확대 등이 시행된다.

 

우선 하절기 최대 전력에서 20% 이상을 차지하는 냉방수요를 줄이기 위해 1000㎡(주민센터 규모)이상의 공공 건축물은 신축·증축시 주간 최대 냉방수요의 60% 이상을 심야전력, 도시가스 등을 사용하는 냉방설비로 설치해야 한다.

 

또 조명부문 전력소비 절감을 위해 기존 건축물 경우 LED제품 교체 비율을 올해 40%로 확대하고, 신축 건축물 경우 30%를 LED로 설치하되 설계 단계부터 LED 조명 설치비율이 미리 반영될 수 있도록 2014년 이후 설치 비율 로드맵을 제시했다.

 

.

특히, 지하주차장 등 장시간(12시간 이상) 사용되는 조명에 대해서는 연도별 교체비율 내에서 우선적으로 LED 제품으로 교체하도록 하는 한편 신축 건축물은 2014년부터 LED 제품을 100% 설치하도록 했다.

 

노후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낭비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면적 3000㎡(소방서 규모) 이상의 업무용 시설은 5년 주기로 에너지 진단을 실시해야 한다.

 

이 밖에 경차 및 환경 친화적 자동차의 전용 주차 공간 수를 5%에서 10%로 확대하고, 에너지절감과 전력피크 관리에 효과가 있는 BEMS, ESS를 공공 청사에 도입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마련했다.

 

산업부는 앞으로 모든 공공기관의 에너지사용량 정보를 건축물 외부 혹은 홈페이지에 게시하도록 하고, 각 기관별 에너지이용 합리화 이행실적을 계량화 한 뒤 추진실적이 미흡한 기관에 대해서는 사후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김판용기자

Copyright ©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서울지사 : 서울시 서초구 언남길 70 제이플러스빌딩 2F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