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2013년도 식품 중 이물 발생 신고 및 조사결과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03-19 10:01본문
![](http://iwellbeing.net/2021/data/file/m1/f3ccdd27d2000e3f9255a7e3e2c48800100051.jpg)
식품의약품안전처장(처장 정승)은 ‘2013년도 식품 이물발생 내역을 조사한 결과 ’2012년에 비해 신고 건수는 소폭 줄어들고, 정부에 신고한 건수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그 동안 이물 저감화를 위한 업체의 이물보고 의무화, 체계적인 원인조사를 통한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 업계와 정부의 노력이 있었고, 무엇보다 기업체 신고보다 정부신고를 통한 문제 해결을 바라는 소비자 기대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물의 종류로는 벌레(2,276건, 35.4%) > 곰팡이(659건, 10.2%) > 금속(528건, 8.2%) > 플라스틱(324건, 5.0%) > 유리(91건, 1.4%) 순이었다.
특히 벌레와 곰팡이는 주로 7∼11월까지 하절기에 집중(벌레 62%, 곰팡이 58%)하여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벌레는 소비·유통 단계(311건, 13.7%)가 제조단계(104건, 4.6%) 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식품 보관 및 취급 과정 중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곰팡이는 소비·유통 단계(109건, 16.5%)가 제조단계(81건, 12.3%)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곰팡이는 유통 중에는 주로 용기·포장 파손 또는 뚜껑 등에 외부공기가 유입돼 발생하거나, 제조 과정 중에는 건조처리 미흡 또는 포장지 밀봉 불량 등으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속, 플라스틱 등은 제조단계가 소비·유통 단계 보다 많이 발견된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제조시설 및 부속품의 일부가 떨어지거나 제조과정 중 식품용기 등의 파편이 식품에 혼입된 것으로 보인다.
식품 종류별 이물 발생률은 면류(965건, 15.0%) > 과자류(672건, 10.4%) > 커피(627건, 9.7%) > 음료류(499건, 7.8%) > 빵·떡류(466건, 7.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 종류별로 가장 많이 발생한 이물은 면류, 과자류, 커피는 벌레였으며 음료류 및 빵·떡류는 곰팡이였다.
면류에서 발생된 이물은 총 965건으로, 소비·유통 단계(102건, 10.6%)가 제조단계(18건, 1.9%) 보다 많았다.
과자류는 제조단계(113건, 16.8%)가 소비·유통 단계(52건, 7.7%) 보다 많았으며, 커피는 모두 소비·유통 단계(32건, 5.1%)에서 발생된 것으로 파악됐다.
음료류는 소비·유통 단계(80건, 16.0%)가 제조단계(31건, 6.2%) 보다 많은 반면 빵 또는 떡류는 제조단계(95건, 20.4%)가 소비·유통단계(16건, 3.4%)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와관련 식약처는 앞으로 벌레, 곰팡이 등 이물 다빈도 발생 식품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얼 제공과 ‘이물관리 협력 네트워크’ 운영 등을 통해 업체의 이물 저감화를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벌레나 곰팡이 이물 집중 발생하므로 소비자는 식품을 구입할 때 제품의 포장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식품을 보관할 때 항상 청결한 장소에서 잘 밀봉 한 후 가능한 서늘한 장소에 보관할 것을 당부했다. 유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