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황사, 미세먼지’대응 농작물 관리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16.0'C
    • 2024.06.02 (일)
  • 로그인

웰빙 TOP뉴스

봄철‘황사, 미세먼지’대응 농작물 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03-25 06:58

본문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이하 농진청)은 최근 들어 옅은 황사와 미세먼지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황사·미세먼지의 발생단계별 시설채소와 가축위생관리 요령을 24일 발표하고 농업인들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했다.

 

농진청 자료에 따르면 봄철(35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황사와 미세먼지는 비닐하우스 투광률을 평상시 보다 7.6% 떨어뜨려 작물 생산량을 감소시키고,가축의 호흡기 질병 발생률도 평소보다 29%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황사와 미세먼지로 인한 농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황사·미세먼지 발생 전에 하우스와 축사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하고, 야외에 있는 건초, 볏짚 등은 비닐이나 천막 등으로 덮어두어야 한다.

 

황사·미세먼지 발생 이후에는 하우스와 축사 등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아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축사 출입 시 철저한 개인 소독을 실시한다.

 

시설 원예작물이 황사, 미세먼지로 인해 일조가 부족한 경우, 인공조명을 이용해 광을 보충하고, 운동장이나 야외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축사 안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어 시설하우스의 피복재에 부착된 황사, 미세먼지는 동력분무기 등을 이용해 씻어내고, 축사 내·외부, 사료급이기 및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 등을 소독한다.

 

 가축이 황사에 노출됐을 때에는 몸체에 묻은 황사를 부드러운 솔로 털어 낸 후 몸체를 물로 씻어내고 구연산 소독제 등으로 분무소독을 실시한다.

 

끝으로 황사, 미세먼지 발생이 끝난 후 12주일 동안은 가축의 이상 유무를 세심히 관찰하고, 병든 가축이 발견되면 즉시 관할 읍·면이나 가축방역기관 등에 신고한다.(1588-4060)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김성일 과장은 “35월 황사와 미세먼지로 인한 시설채소와 가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황사와 미세 먼지 발생에 따른 농가별 대응 요령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유광식 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