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가려움 ‘아토피 피부염’으로 매년 100만명 진료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4.0'C
    • 2025.02.11 (화)
  • 로그인

웰빙 TOP뉴스

극심한 가려움 ‘아토피 피부염’으로 매년 100만명 진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03-26 08:34

본문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은 최근  아토피 피부염(L2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2012년 연평균 진료인원은 104만명이었고, 이중 남성은 49만명, 여성은 55만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진료받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6일 밝혔다.

 

세부적으로 2012년 아토피 피부염 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가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에 육박하고, 연령이 높아지면서 진료인원이 줄어들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특히 영유아기인 0~4세 구간에서는 진료인원이 321천명으로 100명당 15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 진료인원의 1/3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은 연령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단계별로 임상 양상과 피부 병변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유아기(생후 22세 사이)는 보통 생후 2-3개월 이후에 급성병변으로 시작한다. 양 볼에 가려운 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두피와 사지의 폄 쪽에도 병변이 나타난다, 또한 삼출이 심한 경우도 있고 감염을 일으켜 딱지, 농포 등을 보이기도 한다. 감기나 예방주사가 습진을 악화시킬 수 있다.

 

소아기(210)는 팔굽 앞부위나 오금부에 피부염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엉덩이, 눈꺼풀, 손목, 발목 등에도 나타난다. 입술 병변도 흔하며 유아기보다는 급성병변이 적고 아급성병변이 많다.

 

성인기 아토피 피부염이 계속되는 경우 소아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며 태선화 같은 만성병변이 많고, 손에 만성 습진이 흔히 나타나며, 여성은 유두습진이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과 동반되는 소견은 수부습진, 눈 주위가 검어지고 주름이 생기며 백내장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피부감염도 증가한다.

 

9세 이하 연령층을 대상으로 시도별 2012아토피 피부염’ 1만명당 진료인원을 보면 제주도(1,211)와 수도권지역(서울, 인천, 경기 : 1만명 이상)에서 많았고, 부산(805)과 경북, 전남, 경남지역은 환자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대부분은 외래진료를 받지만 최근 중증 아토피 피부염으로 입원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2008년 입원환자는 896명이었으나 2012년에는 1,367명으로 1.5배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증상,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아토피 피부염원인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유전학적 요인과, 알레르기 및 면역학적 요인, 약리 생리학적 요인, 피부 장벽의 이상 등이 원인이다.

 

아토피 환자의 70-80%는 가족력이 있으며, 부모 중 한 명이 아토피인 경우 자녀의 50%가 발생하고, 부모 모두 아토피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자녀의 79%에서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증상

 

주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으로 긁거나 문질러서 피부 병변이 심해지고, 심한 병변은 다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된다. 가려움증은 보통 밤에 심해져서 수면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가려움을 동반한 만성 재발성 습진 질환으로 나이에 따라 특징적인 병변의 분포와 양상을 보이며, 비정상적인 혈관반응을 나타내고, 피부 장벽도 지질의 부족이나 분포이상으로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진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법과 예방법

 

치료는 건조한 피부에 대한 적절한 수분공급과 악화요인의 제거, 그리고 가려움증과 피부염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피부보습을 위해서는 적절한 보습제를 규칙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고 수영이나 목욕 후에는 3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비누나 세제, 모직과 나일론 의류, 기온이나 습도의 급격한 변화 등이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염을 악화 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고, 집 먼지 진드기, 꽃가루, 바퀴 벌레, 동물 털 등의 흡입 항원이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킨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항원들을 제거하는 것이 아토피 피부염 완화에 도움이 된다.음식물 항원은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우유, 계란, 땅콩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피부 감염의 치료와 예방, 정서적 안정도 아토피 피부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음. 이러한 피부관리로 호전이 안 될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국소 도포나 국소 도포 면역 조절제, 항히스타민 제, 감마 리놀레익 산(달맞이 유)등으로 치료한다.

 

그러나 상기 치료로도 반응을 하지 않는 심한 아토피 피부염인 경우에는 자외선 치료나 전신스테로이드, 전신 면역억제제, 인터페론이나 면역 글로불린 등을 써 볼 수 있다.. 유광식 기자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