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5.7%, 흡연과 퇴행성디스크 관련성 잘 몰라 > 웰빙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구름 많음
    • 20.0'C
    • 2024.06.02 (일)
  • 로그인

웰빙 TOP뉴스

국민 65.7%, 흡연과 퇴행성디스크 관련성 잘 몰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05-02 08:14

본문

국민 대다수가 흡연과 퇴행성디스크의 관련성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관절전문 장형석한의원(대표원장 장형석)은 온라인 리서치패널을 통해 만 18~65세 성인 남녀 4,006명을 대상으로 흡연과 퇴행성디스크 관련성을 아는지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65.7%2,631명이 모른다고 응답했다.

 



퇴행성디스크는 척추의 디스크라고 불리우는 추간판이 변성되어 노화되는 것을 말한다. 척추 뼈마디 사이에 존재하는 추간판에 균열이 생기면 내부에 존재하는 수핵이라는 물질이 빠져나가 납작해지고 탄력이 없어진다.

 

50~60대 연령층에서 뚜렷한 진행을 보이는 것이 보통이지만, 20대 후반의 비교적 젊은 층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퇴행성디스크가 발병하면, 만성적인 허리통증과 함께 엉덩이나 다리로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아침에 일어날 때, 허리를 굽힐 때,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때 통증을 호소한다. 또 의자에 장시간 앉았다 일어날 때, 허리가 아프거나 잘 펴지지 않는다.

 

장 원장은 이와 관련 흡연이 백해무익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퇴행성디스크 발생을 높이는 위험요소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담배의 니코틴 성분은 말초 혈관을 수축해 추간판에 영양분과 대사물 이동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할 뿐 아니라, 허리 주변부 근력을 약화시키고 지구력 감소로 인해 통증에 대처하는 능력도 줄어들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건강한 삶을 위한 생활습관은 실천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금연을 실천하는 것이 퇴행성디스크 관리와 치료의 첫 단추라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유광식 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