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 땅 찾기’ 이젠 인터넷으로 하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12-30 10:00본문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지적원도’는 조선총독부가 토지조사사업(1910~18)을 벌이며 전국 토지를 측량해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작성한 세부 측량원도다. 지번과 소유자명 등이 기재돼 있어 일제강점기 당시 소유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토지 관련 주요 기록물을 온라인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정부3.0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에 생산한 토지 관련 공개기록물의 원문이미지를 12월 18일부터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공개했다. 지금까지는 보유기관인 국가기록원을 직접 방문하거나 신청 후 며칠 뒤에나 발급받아 확인해야 하는 등 이용이 불편했다.
토지 관련 기록부 총 17종 208만건 온라인 공개
이번에 온라인에 공개되는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물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만든 토지 도면인 ‘지적원도’를 비롯해 ‘토지조사부’, ‘임야조사부’, ‘토지대장’ 등과 같은 일반문서 중 열람 빈도가 높은 기록물 총 17종 208만건이다. 이 시기에 생산한 토지 관련 기록물에는 당시 토지의 위치나 경계, 토지 소유권자, 소유권자의 변동, 납세내용 등이 담겨 있다. 이런 이유로 조상의 땅을 찾는 등 개인의 재산권 확인이나 증빙을 위해 기록물을 찾는 이용자가 많았지만, 이전에는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열람을 신청하는 사람만 해당 기록물을 받아볼 수 있었다.
이제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토지 관련 기록물의 원문이미지를 바로 검색해 열람할 수 있어 이전에 들였던 노력과 시간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2007년부터 시작해 2013년까지 약 360만건(전체 소장량의 4퍼센트)의 기록물 원문이미지를 서비스해 온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208만건을 추가한 데 이어 2017년까지 강원·경상·전라·충청권 지적원도, 국제교류·경제개발·연구보고·업무계획 관련 주요 일반문서, 주요 시청각기록물 등 총 1,840만건(전체 소장량의 20퍼센트)을 차례로 서비스할 계획이다.
국가기록원은 “이번 서비스는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를 핵심가치로 하는 정부3.0의 일환으로 추진됐다”며 “앞으로도 국민의 관심과 이용도가 높은 기록물을 적극 공개 서비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판용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