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식품 위생관리 A·B·C·D·E 등급 진단평가 시행 관리 > 지역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25.0'C
    • 2024.06.02 (일)
  • 로그인

지역 TOP뉴스

성남시, 식품 위생관리 A·B·C·D·E 등급 진단평가 시행 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2-07-29 07:24

본문

31f4fe41736693859e63c345b823e436_1659047006_17.jpg
 

성남시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오는 8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 592곳 업소를 대상으로 식품 위생관리 진단평가를 시행한다.

평가 대상은 ▲기업체, 병원, 공공기관 등에 있는 집단급식소 300곳 ▲영업장 면적 200~299㎡ 규모의 대형음식점 238곳 ▲지난해 위생 취약 대형음식점 34곳 ▲냉면 판매 음식점 20곳이다.

소비자 식품위생감시원 10명으로 구성된 5개 팀의 진단평가단이 각 업소를 찾아가 7개 분야 30~41개 항목을 점검한다.

조리자의 위생모·마스크 착용 상태, 조리시설·기구의 위생적 관리 여부, 음식재료 보관 온도와 보존 상태, 음식물 재사용 여부, 원료의 유통기한 경과 여부, 달걀의 취급관리 상태 등을 들여다본다.

조리자의 손과 주방용 칼, 도마는 간이 검사기로 오염도를 현장에서 측정 검사한다.

살모넬라 등 원인균별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과 홍보도 병행한다.

점검 내용은 평가표에 따라 점수로 산정해 A(매우 안전), B(안전), C(주의), D(위험), E(매우 위험)의 등급을 매겨 관리한다.

D나 E등급을 받은 업소는 시정될 때까지 재평가하고, 시정하지 않으면 과태료 부과 등 행정 처분한다.

성남시는 앞선 7월 14일 분당구 판교중학교에서 30여 명에 참석한 가운데 ‘식중독 발생 현장 대응 모의훈련’을 했다.

학생들의 식중독 발생을 가정해 인체·환경 검체 채취, 음용수·보존식 확인, 학생과 1대 1 면담, 역학조사, 급식실 위생을 점검하는 등의 훈련이 진행됐다.

시 관계자는 “여름철 고온 다습한 날씨엔 살균작용을 하는 자외선의 양이 줄어 세균 번식이 늘고 식중독 발생 위험성도 높아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식중독 예방과 상황 발생 시 초기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판용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