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배후철도 44.8㎞ 완공 > 지역 TOP뉴스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25.0'C
    • 2024.06.02 (일)
  • 로그인

지역 TOP뉴스

부산신항배후철도 44.8㎞ 완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0-12-14 08:10

본문

국토해양부는 부산신항배후철도(김해∼부산신항만, 44.8㎞)공사가 완공됨에 따라 13일 개통식을 가졌다.

개통식은 부산신항만 철송장에서 열렸으며 정종환 장관, 정·관계 인사 및 주민 등 400여 명이 참석해 개통을 축하했다.

부산신항배후철도는 지난 2003년 12월에 첫 삽을 뜬 후, 7년 만에 개통되며, 사업비 1조 785억 원이 투입됐다.

건설 과정에서 남해고속도로 하부통과구간 냉정터널 안전성 확보 등 어려움이 있었으나, 국내외 전문가와의 합동 조사 및 각종 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했으며, 코레일 등 관계기관과 합동시설물 점검을 실시하고, 지난달 1일부터 열차운행 스케줄에 따른 영업시운전을 시행하는 등 최종 점검을 마쳤다.

부산신항배후철도 개통으로 부산신항만과 수도권, 중부권을 연결하는 철도수송체계를 갖추는 등 부산신항만의 물류를 원활하게 운반할 배후수송로를 확보하게 됨에 따라 도로교통난 완화와 물류비용 절감 등 국가경제 활성화 및 주민생활 환경이 향상될 전망이다.

규모 면에서 부산신항 철송장은 14만5000㎡ 면적에 선로 56개선이 부설돼 연간 57만3000TEU(20피트(6m), 높이 8피트(2.4m), 폭 8피트(2.4m) 1개를 나타내는 단위 처리능력)를 처리한다. 이는 부산신항만 물동량의 20%에 해당하는 양이다.

아울러, 부산신항 개장 시기에 맞춰 배후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부산신항 및 녹산국가공단 등 이 지역의 인적, 물적 수송체계의 혁신을 가져와 철도가 지역경제의 중심 축으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레일은 부산신항 철도운송 분담률 14%(2015년)달성을 목표로 철도수송 물량확보와 수송량 증대를 위해 적극적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어 코레일 영업수지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 부산신항 북측철송장 운영 기본계획(안)[철도공사]
(단위 : 1000TEU)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 고
전체물량
3,502
3,574
2,979
3,043
3,376

철송분담율
10%
12%
13%
13.5%
14%

철송물량
350
429
387
411
473

트레일러(1일 12m)
720회
718회
592회
600회
662회
육로운송
화차(1일 1편성 25량)
80회
98회
88회
94회
108회
철도운송


이번 부산신항배후철도 개통으로 부산권 도로 트레일러(12m) 1일 658회(2011~2015년 평균운송 분담) 운송이 철도로 전환됨에 따라 도로정체 해소 및 대기오염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국토부는 부산신항배후철도(김해~부산신항만)가 개통됨에 따라 “저탄소 녹색성장의 상징인 항만과 철도가 하나가 되어 세계적 수준의 안전과 서비스를 실현하는 항만, 철도 연계서비스 모델이 구현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광식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