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납북자가족모임 대북전단 살포 행위, 파주시 ‘적극 저지’
11일 경기특사경과 대책회의…모든 수단 동원해 막을 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3-13 13:56 댓글 0본문
사진) 김경일 시장, 현장 저지 모습
“남ㆍ북간 대치 강도를 끌어올리고, 지역 주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막겠다”
납북자가족모임(대표 최성룡)이 대북전단 살포 재개를 예고한 가운데, 파주시가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이를 적극 저지하겠다고 선언했다.
파주시는 이와 관련 11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여기에는 경기특사경 관계자도 참석했다.
최근 납북자가족모임이 3월 8일부터 4월 2일까지 파주 임진각 납북자기념관 앞 집회를 신고하고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한 것에 대해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주요 안건은 ▲납북자가족모임과 주민들 간 마찰 방지 방안 ▲집회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대책 ▲집회를 위한 천막 설치 가능 여부 등 이었다.
파주시 전역은 작년 10월 16일 이후 지금까지 ‘재난안전법’에 따른 위험구역으로 설정돼 있다.
그동안 시와 경기특사경은 지역 내 대북전단 살포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24시간 주ㆍ야간 순찰 활동을 펼쳐왔다.
주민들은 일부 탈북민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와 이에 대한 보복 차원의 북한 오물·쓰레기 풍선 살포가 이어져 왔었다고 했다.
또 8개월 넘도록 대남 확성기 소음공격이 지속되며, 남ㆍ북 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고도 했다.
이들은 이러한 위기를 촉발시킨 최초의 불씨가 대북전단 살포 행위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북한의 보복 타격이 불안하다고 지금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시와 시의회는 관내에서 이러한 행위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조례를 만들었다.
지난 2월 발의된 ‘파주시 대북전단 살포 행위 방지 조례안’이다.
이 조례(안)은 시의회 상임위원회 심사과정에서 추가 논의 필요성이 제기돼 현재 의결이 보류된 상태다.
이에 시 집행부는 시급을 다투는 상황이라며 시의회에 빠른 심사를 요구하고 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이와 관련 “남ㆍ북 간 강대강 대치 과정에서 소음방송과 오물풍선 등으로 아무 잘못 없는 접경지역 주민들만 막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며, “시는 이러한 위기의 시발점인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막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