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문화재단, 2025 성남의얼굴전 <무해한 이야기>
성남 중심으로 작업 중인 작가 7명의 회화․도자․설치 등 90여 점 전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4-21 16:06본문
성남문화재단(대표이사 윤정국)이 성남 지역의 미술지형을 한눈에 조망하는 주제기획전 2025 성남의 얼굴전 ‘무해한 이야기’를 4월 25일(금)부터 7월 6일(일)까지 성남큐브미술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2006년 시작해 올해로 16회를 맞은 ‘성남의 얼굴전’은 지역의 역사와 문화, 예술, 생태, 환경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도시를 탐구하고 지역 예술가에 관한 연구와 발굴을 통해 시민과 함께 성남의 미술지형을 살펴보는 성남큐브미술관의 대표 주제기획전이다.
올해 성남의 얼굴전은 새로운 트렌드 키워드로 떠오른 ‘무해력(無害力)’을 주제로, 예술이 주는 긍정의 에너지와 가능성을 담아낸 전시다. 무해력이란 ‘해롭지 않음’을 매력으로 전환한 개념으로, 갈등과 경쟁이 만연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자극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존재가 가지는 힘, 즉 무해함으로써 가지는 힘을 의미한다.
이번 전시는 예술이 주는 공감과 성찰, 사유 등의 긍정적 에너지에 주목해,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가치 있는 관계와 소통을 가능케 하는 ‘예술적 무해력’을 탐구한다. 전시에는 성남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7명의 작가가 참여해, 각기 다른 매체와 형식의 예술적 언어를 담은 회화·도자·설치 등 90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먼저, 전시실 중앙에는 옛 정원 양식과 놀이를 통해 인류가 자연을 바라보는 방식을 탐구한 홍자영 작가의 ‘Table After the Goddess's Passing’(2023~2025)이 관람객을 기다린다. 작가는 자연의 지형을 통해 보이지 않는 원리를 읽어내는 풍수지리의 관점에서 전시장의 분위기에 따라 작품이 보이는 방식을 끊임없이 변화시킨다.
김한나 작가는 캔버스의 덩어리 면을 통해 변화하는 감정과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형상화한 신작 'Eternal Blooming’(2025) 연작을, 박성수 작가는 종이에 점토를 얇게 바르는 반복행위와 가마에 굽는 과정을 통해 불완전한 결과물의 예술적 변형과 사유의 깊이를 보여주는 도자 연작을 선보인다.
또한 3차원의 조각 작품이 평면에 닿았을 때의 공간을 2차원의 목탄 드로잉으로 재구성해, 새로운 공간 감각을 제시하는 김민혜 작가의 신작 ‘Z-Colony’(2025)와 하나의 화면 위에 각기 다른 속성을 가진 면과 획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교차와 충돌을 통해 심리적 깊이와 몰입을 구현한 최지원 작가의 신작 ‘Becoming air’(2025)을 소개한다.
이외에도 사회적 이슈와 개인적 경험을 풍자와 해학을 담아 동화적 화풍으로 풀어낸 배윤환 작가와 일상 속 사물들에 생명을 불어넣어 즐거운 위로와 자아의 행복을 전하는 베리킴 작가의 작품들도 만날 수 있다.
전시 관람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성남문화재단 윤정국 대표이사는 “예술은 단지 보고, 듣고, 느끼며 즐거움을 주는 것을 넘어 사람의 감정을 어루만지고 그 존재 자체로 평온과 위안을 주기도 한다”며 “이번 성남의 얼굴전을 통해 예술작품이 주는 무해한 매력을 깊이 느끼는 것은 물론, 사람과 사회를 향한 소통과 공감의 매개로 무한히 확장하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김판용 기자
- 이전글성남시의회, 4월 17일부터 5일간 진행한 제302회 임시회 폐회 25.04.21
- 다음글성남산업진흥원-애틀란타 조지아 한인 상공회의소, 성남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