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청사, 정부청사로 계속 활용…14개 기관 입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1-07-28 21:31본문
정부는 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 후 청사 활용방안과 관련, 광화문과 과천에 있는 종합청사를 그대로 활용키로 방침을 정하고, 입주 대상기관으로 확정했다.
정부는 7월26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무총리실을 비롯한 16개 중앙행정기관과 조세심판원 등 20개 소속기관이 2012년부터 세종특별차지시로 이전됨에 따른 정부청사 활용방안을 논의했다.
그동안 기획재정부 등 7개 중앙행정기관이 사용하던 정부과천청사는 그대로 정부청사로 활용하면서, 법무부, 대통령 직속의 방송통신위원회·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및 방위사업청을 비롯한 장·차관급 4개 기관과 경인통계청 등 8개 특별행정기관, 정부통합콜센터 등 총 14개 기관을 입주대상기관으로 정했다.
서울 광화문의 중앙청사에는 국무총리실·교육과학기술부·법제처·소방방재청 등이 세종시로 이전하고, 현재 입주해 있는 외교통상부·통일부·행정안전부·특임장관실 이외에 여성부와 대통령 소속 위원회(5개), 총리소속 위원회(1개), 행정안전부 소속 위원회(3개)를 새로 배치하기로 했다.
정부는 과천청사에 이미 입주해 있는 7개 중앙부처 중 법무부를 제외한 6개 부처가 세종시로 이전함에 따라 과천지역 도심 공동화 및 지역경제 위축 등을 우려하는 과천시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그간 과천청사 활용방안과 입주기관 선정에 고심해 왔다.
이에 과천시가 행정 도시로서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고, 청사 부족에 따른 청사 임차료로 매년 많은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 제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과천청사를 정부청사로 계속 활용키로 하고 경기도 및 과천시와 협의를 거쳐 구체적 입주기관을 선정한 것이다.
입주대상 기관은 과천시 의사와 도시 장기발전 방향 등을 종합 고려해 결정했다. 그동안 경기도와 과천시는 과천청사의 세종시 이전에 대비, 지난해 8월 교육·과학·연구 중심도시 구상안 등을 발표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대책 수립을 요구해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9월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관계부처(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 실장급 및 과천시장·경기도 행정부지사가 참여하는 ‘과천청사이전대책협의회’를 구성하고, 그간 수차례 논의 과정을 거쳐 합의점을 도출했다.
정부는 또 지역발전을 원하는 과천시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국유재산의 가치 제고 등을 위해 오랫동안 개발을 보류해 온 과천청사 앞 유휴지(8만9120㎡) 3개 필지도 본격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내년에 ‘과천청사 앞, 유휴지 개발방안’ 등에 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총리실·기획재정부·과천시 등 관계기관 및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합동 TF를 구성해 세부사업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사업계획수립 과정에서도 과천시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반영할 방침이다.
또한, 2012년 말까지 혁신도시(충북 음성)로 이전하는 지식경제부 소속 기술표준원 부지도 민간 시험·인증기관이 입주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며, 과천시민 여론을 존중하고 과천시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최적의 대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정부는 2012년부터 연차적으로 진행될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과 관련하여 각종 현안사항들을 꼼꼼하게 챙겨 이전이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세종시는 부지조성 및 광역도로 건설 등의 기반시설 건설공사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고, 중앙부처의 세종시 이전시기에 맞춰 정부청사 건축공사도 정상 추진 중에 있다.
한편, 내년에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 이전 준비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대상기관과 이전일정 협의에 들어갔으며, 8월말까지 구체적인 이전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는 이주 공무원 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2014년까지 약 2만3000여 세대의 공동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며, 교육·문화·의료 등 초기 이주민들의 생활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주환경 조성사업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종윤기자
정부는 7월26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무총리실을 비롯한 16개 중앙행정기관과 조세심판원 등 20개 소속기관이 2012년부터 세종특별차지시로 이전됨에 따른 정부청사 활용방안을 논의했다.
그동안 기획재정부 등 7개 중앙행정기관이 사용하던 정부과천청사는 그대로 정부청사로 활용하면서, 법무부, 대통령 직속의 방송통신위원회·국가과학기술위원회 및 방위사업청을 비롯한 장·차관급 4개 기관과 경인통계청 등 8개 특별행정기관, 정부통합콜센터 등 총 14개 기관을 입주대상기관으로 정했다.
서울 광화문의 중앙청사에는 국무총리실·교육과학기술부·법제처·소방방재청 등이 세종시로 이전하고, 현재 입주해 있는 외교통상부·통일부·행정안전부·특임장관실 이외에 여성부와 대통령 소속 위원회(5개), 총리소속 위원회(1개), 행정안전부 소속 위원회(3개)를 새로 배치하기로 했다.
정부는 과천청사에 이미 입주해 있는 7개 중앙부처 중 법무부를 제외한 6개 부처가 세종시로 이전함에 따라 과천지역 도심 공동화 및 지역경제 위축 등을 우려하는 과천시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그간 과천청사 활용방안과 입주기관 선정에 고심해 왔다.
이에 과천시가 행정 도시로서 정체성을 계속 유지하고, 청사 부족에 따른 청사 임차료로 매년 많은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 제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과천청사를 정부청사로 계속 활용키로 하고 경기도 및 과천시와 협의를 거쳐 구체적 입주기관을 선정한 것이다.
입주대상 기관은 과천시 의사와 도시 장기발전 방향 등을 종합 고려해 결정했다. 그동안 경기도와 과천시는 과천청사의 세종시 이전에 대비, 지난해 8월 교육·과학·연구 중심도시 구상안 등을 발표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대책 수립을 요구해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9월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관계부처(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국토해양부) 실장급 및 과천시장·경기도 행정부지사가 참여하는 ‘과천청사이전대책협의회’를 구성하고, 그간 수차례 논의 과정을 거쳐 합의점을 도출했다.
정부는 또 지역발전을 원하는 과천시민의 기대에 부응하고, 국유재산의 가치 제고 등을 위해 오랫동안 개발을 보류해 온 과천청사 앞 유휴지(8만9120㎡) 3개 필지도 본격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내년에 ‘과천청사 앞, 유휴지 개발방안’ 등에 관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총리실·기획재정부·과천시 등 관계기관 및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합동 TF를 구성해 세부사업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사업계획수립 과정에서도 과천시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반영할 방침이다.
또한, 2012년 말까지 혁신도시(충북 음성)로 이전하는 지식경제부 소속 기술표준원 부지도 민간 시험·인증기관이 입주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며, 과천시민 여론을 존중하고 과천시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최적의 대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정부는 2012년부터 연차적으로 진행될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과 관련하여 각종 현안사항들을 꼼꼼하게 챙겨 이전이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세종시는 부지조성 및 광역도로 건설 등의 기반시설 건설공사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고, 중앙부처의 세종시 이전시기에 맞춰 정부청사 건축공사도 정상 추진 중에 있다.
한편, 내년에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 이전 준비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대상기관과 이전일정 협의에 들어갔으며, 8월말까지 구체적인 이전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는 이주 공무원 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2014년까지 약 2만3000여 세대의 공동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며, 교육·문화·의료 등 초기 이주민들의 생활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주환경 조성사업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종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