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소음지도’, 공동주택 등의 높이별 소음 현황 한눈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0-08-09 09:04본문
국립환경과학원은 “소음환경영향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소음피해 예상지역에 대해 ‘소음지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음지도는 소음예측 모델링을 통하여 도로, 철도 등의 소음원이 복잡한 도심지 건물에 미치는 영향 및 건물의 층별 소음도를 3차원으로 한눈에 가시화 한 것으로써, 복합 소음원, 복잡한 지형 및 반사영향 등 다양한 조건을 가진 30여개 지역에서 도로 및 철도소음 실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한 결과 대체로 ±2 dB 이내로 예측이 가능하였다.
※ 현재 예측방법 : 현재 소음환경영향평가에 사용되는 소음예측방법은 소음원으로부터 수평거리의 지점에 대해 1차원적인 예측은 가능하나, 복잡한 도심지나 특히 공동주택의 높이별 소음도를 예측에 적용했을 경우는 3 dB 이상의 차이가 발생 할 가능성이 있음
소음피해 예상지역에 대한 정확한 사전 예측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후 민원을 예방하고, 방음벽, 저소음포장, 방음터널 등 지역특성에 맞는 최적의 소음저감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지자체별 소음노출인구 산정 및 도시계획 수립시에도 소음지도가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이명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