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장기화 조짐, 담당 보건인력 피로누적 우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0-02-05 12:46본문
* 유광식 기자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 사태가 확산세를 이어가면서 방역과 환자 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 보건소 감염병관리팀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다.
2015년 메르스(MERS) 사태 때도 일부 보건소에서 직원들이 심한 피로누적을 호소한 바 있어 사태 장기화에 대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4일 경기북부 지자체들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국내 첫 우한 폐렴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그동안 예방 위주의 방역 홍보를 하던 경기북부 지자체들도 보건소나 재난안전부서를 중심으로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유지 중이다.
특히 감염병 발생 시 환자 선별과 관리, 예방 등을 맡고 있는 보건소 감염병관리팀은 지역 역학조사와 접촉자 관리는 물론 민원전화에도 응대하고 있어 퇴근조차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별 감염병 관리인력은 보건소당 5~6명 내외로, 지역 보건소 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평소에는 결핵이나 간염 등에 대한 관리를 맡아 업무 하중은 별로 없지만, 사스(SARS)나 메르스 등 고위험군 감염병 발생 시에는 업무와 창구가 집중돼 피로 누적이 심해지는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지자체들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해 재난안전부서와 총무과 인력을 지원하거나 일부 비전문성 업무를 일시적으로 다른 부서에 이관하는 등 하중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보 혼선 방지를 위한 창구 일원화와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근본적인 대책은 없는 실정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5년 전 메르스 사태 때는 지자체 보건직 중 일부가 심한 피로 누적으로 탈진해 쓰러지기도 했지만, 이후에도 감염병 관리인력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기조지자체 역학조사관 도입 등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감염병 관리 인력 구성과 준비가 아쉬운 대목이다.
어느 지자체 보건소 관계자는 이와 관련 “지난달 23일부터 비상이 걸려 새벽 출근, 10시 퇴근이 이어지고 있다”며, “퇴근해서도 업무를 이어가다가 중간에 이송이 있다거나 하면 다시 나와야 하는데 솔직히 많이 힘들기는 하다”고 토로했다.
다른 보건소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보건소 규모가 작을수록 업무 부담이 심한 편이다.
또 다른 지자체 보건소 관계자는 “퇴근을 해도 어차피 계속 상황을 관리해야 하고 의심환자나 접촉자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날밤을 새는 날도 많다”며, “그나마 다른 부서에서 전문성이 덜한 업무를 도와주거나 일부 평시 업무처리를 지원해주고 있어 조금 나아진 상태지만,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늘면 분명 도움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유광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