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의원 윤창근 성남시 물자원의 재이용 정책 부실하다 > 실시간/인물/동정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26.0'C
    • 2024.06.01 (토)
  • 로그인

실시간/인물/동정

성남시의원 윤창근 성남시 물자원의 재이용 정책 부실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2-11-28 19:25

본문

 

水(물)은 인간뿐 만 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생존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요소이며, 지구의 급속한 온난화, 산업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 무분별한 개발사업의 진행 등으로, 2025년에는 전 세계 18억 명이 물 부족에 직면하는 시대가 도래 할 것임.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xml: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우리나라는 UN에서 발표한 물 부족 국가이며, 정부에서도 물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2010. 6. 8일「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 물자원의 재이용을 중요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음.

 

우리시에서도 지난 2008. 9. 1일 성남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에서 물 재이용을 통한 탄천 등 하천유지용수 확보를 위하여 「여수 국민임대주택 사업지구내 하수 분산처리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여,

 

여수, 도촌, 기성시가지 재개발 지구 등 신규 개발지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자체 처리하여 물의 재이용과 하천의 물 부족을 해소하고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요구 한바 있으나, 아직까지 그 실행이 부족한 실정 임.

 

앞으로 모든 부서에서 물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물자원의 재이용을 위한 특단의 노력이 요구되며,

 

특히 동원동 산업단지는 2009년도 성남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에서 단지내 발생하수 940㎥/일을 동막천 및 탄천 유지용수 확보를 위하여 자체 물 재이용 처리시스템 설치를 요구 하였으나 이런 저런 이유로 이행치 않고 있다가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단지 내 물 사용량의 10% 이상 의무적으로 중수도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자, 전량(940㎥/일)이 아닌 200㎥/일 규모의 중수도 시설 설치를 위한 용역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중수도는 하수도 기본계획 반영 대상이 아니므로 동원동 산업단지내 발생하수 전량을 중수도 처리하여, 단지내 조경수, 친수 공간 용수로 사용하고 동막천에 방류함으로서 탄천 유지용수를 확보하고,

 

하수도 요금 면제, 수도요금 감면 등으로 입주업체의 부담을 경감하고, 복정 수질복원센타의 처리부담을 줄임으로서 하천 수질 개선 및 운영·관리 건전화에 기여할 수 있음. 단, 중수도 공법은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이며, 유지관리비가 적게드는 공법 채택이 중요함.

 

민선5기 공약 사항인 지류별 하수 분산 처리시스템 구축 사업성남시 하수도 기본계획, 감사원 권고를 이유로 불가능한 것으로 종결 처리한 것은 잘못된 판단이며,

 

지류별 중수 처리시스템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공약사항을 이행 하도록 추진 할 필요가 있음.

 

감사원에서 성남시 하수 분산처리를 위한「하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안)」에 대하여 복정동 수질복원센터 여유량이 약12,000톤 있으므로 복정동 수질복원센터에서 통합 처리토록 권고한 것은,

위례신도시 발생하수 약 30,000톤을 처리하기로 계획되어 있어 현실에 맞지 않음

복정동 수질 복원센타는 1976년부터 설치·운영되고 있고, 합류식 (본시가지),

분류식(분당신시가지)으로 혼용 운영되어 우기시 연간 상당일 이상 바이패스 하고 있는 실정이며,

 

시가지 하류에서 종말 처리되고, 방류수 수질 기준이 BOD, SS 10PPM 기준으로 친수공간 수질(BOD 3PPM)에 미치지 못하여 탄천 수질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음.

 

성남시 2020 장기발전 계획에서도 탄천 유지용수 확보 및 환경 도시 건설을 위하여 신규 발생 하수는 소규모로 신설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음.

 

앞으로 동원동 산업단지, 대장동 택지개발 사업지구, 고등보금자리 주택지구, 농촌동 지역 등에서 신규 발생하는 하수는 중수도 개념을 도입하여 2급수 수준(BOD, SS 2 PPM) 이상으로 처리된 깨끗한 물을 자원화 하여 농업, 조경, 하천유지용수로 재사용 될 수 있도록 추진하여야 할 것임.

 

▣ 도촌동 택지개발 사업지구내 하수처리장 설치 제안 (2002년)

∙시설용량 : Q=7,000㎥/일, ∙ 사업비 : 79억원

∙시설부지 : A≒2,200평

∙환 경 : 시설상부 잔디 냄새없는 친환경 시설

 

하수처리과「라OO(시흥동장), 김OO(휴직)」에서 일본 출장 후 냄새, 효용 인정하나

 

부지 16,000평, 사업비 약 420억원 소요 된다며 추진 반대하여 무산

 

성남시의회에서 성남시청사 내 중수도(물재이용 시스템) 설치 요구(2008년)

하수도 기본계획 반영 대상이 아니며 방류수는 청사내 친수공간에서 이용 후 탄천에 직접 방류.

→ 탄천 유지용수로 활용

∙시설용량 : Q=350㎥/일 ∙ 사업비 : 10억원

 

시청사 준공 일정에 차질을 이유로 준공 후 추진하는 것으로 이대엽 시장 보류 (당시 재정경제국장 이OO, 과장 엄OO)

 

 

동원동 산업단지내 자체 하수처리장 설치 제안 (2009년)

∙시설용량 : Q=940㎥/일 ∙ 사업비 : 24억원

∙계획수질 : BOD, SS : 2 PPM

 

동막천 유지용수 확보를 위하여 자체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것으로 방침(시장 결재, 각과 혐조) 받았으나,

 

환경부 자문(감사실) 결과, 수량(940톤)이 많지 않으니 기존 복정 하수처리장으로 연결 하는 것으로 방침 변경

 

동원동 산업단지 내 중수도 시설 설치

 

물의 재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2011. 6. 9 시행)이 제정되어 산업단지 내

물 사용량의 10% 이상 의무적으로 중수도 시설을 설치토록 규정.

 

동원동 산업단지 중수도 설치 용역과정에서 200톤 규모의 중수설비를 MBR 공법으로 선정 추진 중이나,

 

2011. 11. 9 이재명시장 주재 토론회시 공법 재검토 지시

 

                                            행정감사에서    윤창근 성남시의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