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이씨 의정공파 세거 연구」 학술토론회 개최 > 실시간/인물/동정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18.0'C
    • 2024.06.02 (일)
  • 로그인

실시간/인물/동정

「덕수이씨 의정공파 세거 연구」 학술토론회 개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1-12-05 07:15

본문

 

성남학 연구의 본산으로 향토문화연구에 진력하고 있는 성남문화원(원장 한춘섭)은, 우리시 고등동 덕수이씨(德水李氏) 가문에 대한 ‘덕수이씨 의정공파 세거 연구’를 주제로, 제10회 학술토론회를 2011년 12월 7일 오전 10시부터 문화원 3층 강당에서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에는 한춘섭 원장이 좌장을 맡아, 문수진 신구대 명예교수가 ‘덕수이씨 문중의 가계와 세거연구’, 윤종준 성남문화원 상임연구위원이 ‘덕수이씨 의정공파의 국가공헌’, 우리나라 금석학계의 권위자인 손환일 박사가 ‘이통 ․ 이경민 부자 세장지를 중심으로’, 이희순 선생이 ‘해풍군 이함 묘지와 신도비의 서체를 중심으로’ , 손미숙 연구원이 ‘조선 중기 덕수이씨 고등동 묘역의 석물고찰’에 대한 연구논문을 발표한다. 


 덕수이씨는 고려 때 중랑장 이돈수를 시조로 하고, 율곡 이이, 충무공 이순신, 택당 이식 등 조선시대에 과거급제자 105명, 상신 7명, 대제학 5명, 호당 6명, 청백리 2명, 장신(將臣) 7명 등을 배출한 가문으로, 성남시 고등동에 처음 정착 하게 된 것은, 풍성군 이의번의 두 아들 이함(李菡, 1470~1534)이심(1472~1516)이, 1506년 연산군을 몰아내고 이복동생인 진성대군을 추대한 중종반정 때 공신이 되어, 이 지역을 사패지로 받게 되면서 부터이다. 


 고등동 이경민(1578~1652)의 묘 앞에 세워진 비석은, 특이한 모양의 거북이가 받치고 있는데, 그의 아버지 이통(李通)이 강원도 흡곡 현령으로 있을 때, 꿈에서 가문이 번성하게 될 징조라고 여긴 것을 표현한 것으로, 실제로 덕수이씨 가문은 이경민의 시대부터 크게 번성하게 되었으며, 아버지 이통을 비롯해 이경민의 다섯 형제가 모두 글씨와 문장이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한편, 상적동의 마을 이름 유래도, 덕수이씨 문중에서 과거 급제자가 많이 배출되어 피리소리가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며, 1950년에 왕남초등학교가 13개 교실을 신축할 때에도 덕수이씨가 크게 기여했고, 2011년도에도 학교 교정에 율곡 이이 선생님 동상을 세운 바 있다.


 성남문화원 한춘섭 원장은 “내 고장 전통 찾기와 역사인물을 추앙하는 학술토론회를 이번으로 10번째 개최한다” 며, “이번 토론회가덕수이씨 500년 동안 지역 세거성씨의 집성촌을 이루고 뿌리 내려온 역사적 배경과 국가공헌에 대해 밝힘과 동시에,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는 덕수이씨 세장지의 역사적 가치 규명과 우리 지역의 정통성을 튼튼히 다지는 계기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