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경쟁력 강화로 국내 임상 비약적 발전 > 건강/힐링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25.0'C
    • 2024.06.02 (일)
  • 로그인

건강/힐링

임상경쟁력 강화로 국내 임상 비약적 발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2-02-16 07:48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이희성)은 ‘11년 임상시험 승인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승인건수가 총 503건으로 ’10년(439건)에 비하여 14.6%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승인된 전체 임상시험 중 국내 임상시험은 309건(61.4%) 이었으며, 다국가 임상시험은 194건(38.6%)으로 나타났다.

□ 국내 임상시험의 비약적 증가

국내 임상시험은 ‘10년 229건에서 ’11년 309건으로 전년대비 34.9% 증가한 반면, 다국가 임상시험은 ‘10년 210건에서 ’11년 194건으로 7.6%가 감소하였다.

최근 3년간 다국가 임상시험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09년 202건→ ’10년 210건→ ‘11년 194건)을 보이고 있으나, 국내 임상시험은 같은 기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09년 198건→ ’10년 229건→ ‘11년 309건)

이는 ‘08년말 전세계적인 경기불황의 여파로 다국적 제약사의 임상 투자 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반면, 국내는 정부차원의 신약개발 연구지원이 확대되고 개발 위험이 적은 복합제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국내 임상시험이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 국내 임상시험 : 국내에서 개발하는 의약품 임상시험,
  ※ 다국가 임상시험 : 국내 및 다국가에서 개발하는 의약품 임상시험

□ 종양 및 심혈관계의약품 개발 중심

임상시험 치료영역별로는 종양 112건(22.3%), 심혈관계 69건(13.7%), 중추신경계 47건(9.3%), 호르몬 및 대사기계 41건(8.2%)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임상시험 건수가 전체 임상시험의 53.5%를 차지하였다. 종양치료제의 경우 ‘10년 이후 주춤(‘09년 101건→‘10년 112건→’11년 112건)하였으나, 심혈관치료제는 ‘10년 이후 증가(’09년 61건→‘10년 49건 →’11년 69건)하였다.

최근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경향은 서구화된 식습관과 고령화 사회 등에 따른 국내 질병의 변화에 맞추어 항암제 및 만성성인병 치료제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국내 연구·개발(R&D) 추세가 새로운 조성의 복합제 등의 개발경향이 두드러지면서 다른 의약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의약품시장을 가지고 있는 심혈관치료제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임상시험의 지역별, 기관별 편중

임상시험 수행 지역별로는 서울(48%) 및 경기도(23%)에서 대부분의 임상시험이 실시되었으며, 서울은 감소(’10년 56.8%→’11년 48%)한 반면 경기도는 증가(’10년 15.5%→ ’11년 23%)하였다.

임상시험 기관별로는 서울아산병원(153건, 8.2%), 서울대학교병원(147건, 7.6%), 삼성서울병원(141건, 7.6%), 연세대학교신촌세브란스병원(141건, 7.6%) 및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94건, 5.1%) 등의 순으로 이들 빅5의 임삼시험 점유율은 36.6%에 달하였다. 빅5 기관은 지난 3년간의 현황을 분석한 자료와 비교해 볼 때 임상시험 점유율이 36.6%를 보이고 있다.
  ※ ‘09년~’11년 상위 5개 기관별 현황 : 서울대학교병원(435건), 삼성서울병원(421건), 서울아산병원(414건, 연세대학교신촌세브란스병원(397건),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264건)

□ 국내 연구자 임상시험의 활발

임상시험 신청건수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서울대학교병원, 한국릴리가 각각 1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퀸타일즈트랜스내셔널코리아 및 한국노바티스가 각각 16건, 서울아산병원이 15건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 신청이 많은 상위 5개사 중 다국적 제약사 뿐 아니라 서울대학교병원 및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 대학병원이 2군데나 포함되어 국내 연구자 임상시험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08년 이후 관련 규정의 개정으로 시판중인 의약품, 천연물제제, 한약제제 등의 연구자 임상시험 승인시 제출자료가 간소화되었고, 임상시험기관 연구자의 질적·양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연구자 임상시험이 활성화 된 것으로 보인다.

□ 임상시험 경쟁력 강화에 따른 초기 임상시험(0~1상)의 증가

임상시험 단계별로는 초기 임상시험(0~1상)이 149건(29.6%)이었으며, 2상은 70건(13.9%), 3상은 109건(21.7%), 4상·연구자는 81건(16.1%)이었다.
  ※ 0상 임상시험: 정식 임상시험(1,2,3,4상) 이전에 소용량의 의약품으로 인체내 약리약적 특성을 탐색하는 제한된 범위의 임상시험(Exploratory 또는 Microdose study로 명칭)

국내 임상시험의 국제 경쟁력 지표가 될 수 있는 초기 임상시험(0~1상)의 승인건수와 전체 임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1년에 증가(’09년: 85건, 21.3%) → ‘10년: 99건, 22.6%) → ’11년: 149건, 29.6%)하였다.

연구자 및 개발사의 초기 임상(0~1상)에 대한 관심 증가와 국내 임상시험기관의 의료 전문 인력과 시설 등 인프라 및 임상시험의 질적 수준이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으로 분석된다.

□ 임상시험 경쟁력 강화 추진 방향

식약청은 초기 임상(0~1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승인처리기간을 30일에서 14일로 단축하고, 상담 기간 단축 및 절차 간소화 등 사전상담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자가점검요약서 제도 도입 및 영문계획서 제출 허용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임상기법과 글로벌 임상시험 우위선점 및 인프라구축을 위하여 첨단화·특성화를 토대로 하는 ‘임상시험 종합발전계획’을 수립·추진하여 임상시험 경쟁력 강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 임상시험 종합발전계획 : 내`외부 관련 전문가로 ‘임상미래창조2020 기획단’을 구성하여 임상선도 국가 도약을 위한 입체적 종합방안 마련

아울러 피험자 안전관리를 위하여 ‘피험자 보호 프로그램’ 개발 등 임상시험 참여자가 쉽고 간편하게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피험자의 권리와 안전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를 할 예정이다.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