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독버섯 섭취 주의 당부 > 건강/힐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야생 독버섯 섭취 주의 당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2-07-29 11:13 댓글 0

본문

전라북도는 비가 많고 기온이 높아 산에 야생버섯이 많이 자라는 요즘, 건강을 위한 산행길에 야생 독버섯 채취나 섭취를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특히, 올해는 비가 많이 오고 땅에 습기가 많아 버섯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야생버섯을 쉽게 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독버섯 서식 환경 ; 습기가 많고 기온이 20~25℃에서 주로 서식하며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발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버섯 약 1,500여종 중 주요 식용버섯은 송이, 능이, 표고버섯 등 20여종에 불과하고 독우산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등 90여종의 많은 독버섯이 함께 자라고 있으며, 그 이외 많은 버섯은 식용가능 여부가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일부 독버섯은 식용버섯과 모양이나 색깔이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일반인의 상식으로는 구별하기가 힘들다.

야생버섯을 섭취하고자 할 때에는 버섯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하고, 야생버섯은 가급적이면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 빛깔이 화려하고 진하다 ▲ 냄새가 고약하거나 나쁘다 ▲ 끈적끈적한 점질이 있거나 즙액이 있다 ▲ 맛이 맵거나 쓰고 자극적이다 ▲ 은수저 색깔을 변화시키다 ▲ 세로로 잘 찢어지지 않는다 등의 내용은 독버섯에 대해 대표적으로 잘못 알려진 상식이다.

독버섯을 섭취 했을 경우 대개 30분에서 12시간 안에 두통, 구토, 발진, 메스꺼움 같은 증상이 나타나므로 즉시 가까운 보건소나 119에 신고하고 병·의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며, 보건소에 신고할 때는 조리 후 남은 버섯이나 섭취한 버섯을 가지고 가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김판용기자
Copyright ©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서울지사 : 서울시 서초구 언남길 70 제이플러스빌딩 2F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