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서 백제 금동관모·금동신발 출토 > 레저문화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18.0'C
    • 2024.06.02 (일)
  • 로그인

레저문화

경기 화성서 백제 금동관모·금동신발 출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4-05-27 08:22

본문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경기도 화성에서 백제의 금동관모과 금동 신발이 출토됐다.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은 26일 경기도 화성 향남2지구 동서간선도로(H지점) 문화재 발굴조사의 긴급 학술자문회의와 현장설명회를 27일 오후 1시 발굴현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금동관모

 

현재까지 조사 결과 분구묘 1기와 목곽묘(木槨墓, 덧널무덤) 1기 등이 확인됐으며 내부조사가 진행 중인 목곽묘를 중심으로 공개한다.

 

분구묘(墳丘墓)는 미리 흙이나 돌로 봉분과 같은 분구를 조성하고 그 위에 매장시설을 만드는 무덤양식이다.

목곽묘에서는 금동관모(金銅冠帽, 금동으로 만든 모자) 금동식리(金銅飾履, 금동으로 만든 신발) 금제이식(金製耳飾, 금으로 만든 귀고리) 환두대도(環頭大刀, 둥근 고리가 있는 고리자루칼) 등의 장신구가 출토됐다.

 

이번에 출토된 금동관모의 외면에는 삼엽초화문(三葉草花文)이 투조(透彫, 면을 도려내어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조각법)돼 있으며 대륜부(帶輪部, 일정한 폭을 가진 띠 모양)의 내면에는 백화수피(白樺樹皮, 자작나무 껍질)제 내관(內冠)이 들어있어 현재 긴급 보존처리 중이다.

 

이러한 금동관모의 양상은 공주 수촌리 1호 토광묘,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합천 옥전 23호분 출토품과 유사해 금동관모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에 해당한다.

 

또 꺾쇠와 관못을 사용한 목관의 결구 방법은 공주 수촌리 고분군과 비교할 수 있으며 목곽의 모서리에 철정(鐵鋌, 덩이쇠)을 매납하는 방법은 오산 수청동 고분군, 서산 기지리·부장리 고분군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은 목곽묘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금동식리, 환두대도 등의 유물은 45세기 경기도 화성 지역이 백제의 지방 주요 거점지역이었음을 알려주는 최고의 위세품(威勢品)에 해당하는 것으로 경기 지역에서 최초로 출토됐다는 점에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문화유산연구원은 목곽묘에 대한 마무리조사와 분구묘에 대한 내부조사를 통해 4~5세기 백제의 중앙과 지방 세력 간 정치적 관계를 구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유광식 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