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소금섭취량 아직도 높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2-11-20 10:38 댓글 0본문

작년 한 해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적으로 섭취한 소금은 약 12g (나트륨 4,791mg)으로, ’10년(4,831mg)보다 소폭 감소하여 증가추세가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금 섭취량을 환산 (소금섭취량 = 나트륨섭취량×2.54)
그러나, 이는 WHO(세계보건기구)가 제시하는 권고기준 5g에 비하면 여전히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 WHO 권고기준 : 소금 5g(나트륨 2,000mg) 이하
나트륨 섭취량은 성별, 거주지역, 소득수준 등과 상관없이 모든 인구집단에서 높았으며, 특히 30~40대의 섭취 수준이 높았다.
- 남자(30~49세)의 경우 WHO 권고기준 대비 3.4배인 6,808mg을 섭취하고, 여자(30~49세)의 경우 WHO 권고기준 대비 2.3배인 4,687mg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나트륨 섭취의 주요 음식은 김치류, 찌개류, 면류 등이었으며, 김치류는 전 연령에서, 20대까지는 라면, 50대 이후에는 찌개류로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나트륨은 섭취 장소로는 절반 이상(53%)이 가정식으로부터 섭취되고 있었으며, 36% 가량은 음식업소 음식·단체급식 등의 외식을 통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외식 빈도가 잦은 30~40대 남자는 나트륨의 50% 가량을 외식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30~49세 남자는 에너지의 41.5%, 나트륨의 48.6%를 외식으로 섭취
한편, 가정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는 지속적으로 감소(’08년 66%→’11년 52.7%) 하는 반면, 외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는 지속적으로 증가(’08년 29%→’11년 36.1%)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가정에서 싱겁게 조리하려는 노력뿐만 아니라 외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를 줄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해부터 나트륨 줄이기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금년 3월에는 ‘나트륨줄이기 운동본부’ 출범하여 범국민적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량이 여전히 높기는 하나, 전년에 비해 다소 감소한 것은 고무적”이라고 밝히고, “앞으로도 나트륨 줄이기에 동참하는 건강음식점* 지정을 확대하고, 외식업중앙회 등을 통해 싱겁게 조리하는 문화가 확산되도록 유도하여 외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를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11년) 114개 → (’12년) 250개 → (’13) 1,000개 목표
질병 예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강행태, 질병유병 현황도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현재흡연율은 2명 중 1명 수준으로, ’98년부터 10년간 감소하는 경향(‘98년 66.3% → ’07년 45.0%)이었으나 최근 4년간은 정체 상태이다.
* 현재흡연율 : 평생 담배 5갑(100개비) 이상 피웠고 현재 담배를 피우는 분율
* (’08년) 47.7% → (’09년) 46.9% → (’10년) 48.3% → (’11년) 47.3%
신체활동실천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08년 25.9%, ‘09년 26.3%, ’10년 22.4%, ’11년 19.3%)을 보였다.
*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실천율 : 최근 1주일 동안 격렬한 신체활동을 1회 10분 이상, 1일 총 20분 이상, 주 3일 이상 실천 또는 중등도 신체활동을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5일이상 실천한 분율
30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이며, 4명 중 1명은 고혈압, 10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최근 10여 년간 개선 없이 유사한 수준이다.
* 비만 유병율 : ’08년 32.9%→’09년 34.0%→’10년 33.9%→’11년 34.2% 고혈압 유병율 : ’08년 26.3%→’09년 26.4%→’10년 26.9%→’11년 28.5% 당뇨병 유병율 : ’08년 9.7%→’09년 9.6%→’10년 9.7%→’11년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