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은염 환자 800만명, 구강을 청결히 하고 정기치료 받아야 > news

본문 바로가기
    • 맑음
    • 21.0'C
    • 2024.06.01 (토)
  • 로그인

news

치은염 환자 800만명, 구강을 청결히 하고 정기치료 받아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3-02-14 07:59

본문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6년(2006~2011년) 동안의 ‘치은염(K05)’ 질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563만명에서 2011년 800만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7.3%의 증가율을 보였다. 남성은 2006년 285만명에서 2011년 401만명으로 연평균 7.0%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6년 278만명에서 2011년 399만명으로 연평균 7.5%씩 늘었다.

2011년 기준으로 성별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50대가 181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는 159만명으로 40~50대가 전체 진료환자 800만명 중 42.5%를 차지하였다.

최근 6년 동안 ‘치은염’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6년 2,776억원에서 2011년 4,881억원으로 연평균 11.9% 증가하였다.

건강보험공단 2011년 건강검진통계연보의 ‘구강건강검진’ 결과에 따르면 전체 수검자 413만명 중 ‘치석제거(스케일링)가 필요한 경우’가 208만명(50.6%)이었고, ‘치아우식증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95만명(23.2%)이었으며, ‘치주질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37만명(9.0%)으로 나타났다.

구강검진 대상자 중 치석제거(스케일링)가 필요하다는 소견은 40대가 52만명(53.5%)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48만명(52.5%), 30대 54만명(51.4%) 순(順)이었다.

치석제거(스케일링)는 치은염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부는 올해 7월부터 치석제거만으로도 치료가 완료되는 ‘간단치석제거’에 대해 건강보험 적용을 신설할 예정이다.

※ 2011년 연령대별 구강검진 종합소견 현황
◈ 치석제거 필요 : 40대(53.5%) > 50대(52.5%) > 30대(51.4%)
◈ 치아와 입안이 건강함 : 20대(32.1%) > 20대미만(31.3%) > 80세이상(29.7%)
◈ 치아우식증 치료필요 : 20대미만(38.3%) > 20대(31.3%) > 30대(27.2%)
◈ 이를 해넣어야 함 : 60대(26.5%) > 70대(25.9%) > 80세이상(25.6%)
◈ 이닦는 방법 교육 받아야함 : 60대(22.7%) > 70대(22.5%) > 80세이상(21.1%)
◈ 이를 빼야함 : 20대(18.2%) > 30대(14.4%) > 20대미만(14.4%)
◈ 치주질환 치료필요 : 70대(15.2%) > 60대(14.6%) > 80세이상(13.6%)
◈ 의치보철물 수리, 재제작 : 80세이상(20.0%) > 70대(14.4%) > 60대(8.6%)
◈ 구강 연조직 정밀 추가 검사필요 : 80세이상(0.4%) > 70대(0.3%) > 60대(0.2%)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김영택 교수는 ‘치은염’ 질환의 원인, 치료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치은염’의 정의

치은염은 가장 흔한 잇몸질환의 일종으로 치아와 잇몸 경계에서 시작되는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치은염’의 원인

여러 가지 치은염이 있으므로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치태 세균막안의 미생물에 의한 염증이 대부분의 원인을 차지하고 있다.

‘치은염’의 증상

잇몸 색이 검붉게 변하고, 잇몸에서 출혈 성향을 보인다. 부종과 궤양을 보이기도 하나, 동통은 수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치은염’의 치료법

통계에서 나와 있다시피 건강검진 수검인구의 50% 가량이 스케일링을 필요로 할 만큼 치태나 치석에 노출되어 있다. 칫솔질만으로는 치은염을 예방할 만큼 구강위생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은염의 치료는 치태 및 치석제거(스케일링)다. 필요에 따라 마취 후에 치은연하소파술과 같이 잇몸치료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지만 치주염(염증으로 인한 골소실을 동반하는 경우)으로 진행되지 않은 치은염이라면 대부분의 경우 치태 및 치석제거로 충분히 치료될 수 있다.

‘치은염’의 예방 및 관리요령

치은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칫솔질을 익히고, 치간칫솔, 치실과 같은 보조구강위생 기구를 이용하여 구강위생을 더욱 청결히 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다만, 개인 구강위생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치은염이나 치주염 여부를 확인하고, 가능하다면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통해 치은염이나 치주염을 예방할 수 있다. 치은염에 걸렸었다 하더라도 개인구강위생 강화와 주기적인 치태, 치석제거를 통해 관리하여 건강한 잇몸을 유지할 수 있다. 김판용기자
      성남시자원봉사센터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취재본부장:이창주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2980번지 15호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