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 로봇수술 2만례 돌파.. 국립대병원 최초
2007년 국립대병원 최초의 로봇수술 시행한 이래 2만례 돌파도 최초 달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4-21 13:52 댓글 0본문
사진) 심포지엄 개최 모습
분당서울대병원(원장 송정한)은 국립대병원 최초로 로봇수술 2만례를 달성하고 18일 병원 대강당에서 이를 기념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2007년 국립대병원 최초로 다빈치 로봇수술을 시행한 이래, 비뇨의학과, 외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성형외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수술을 시행해왔다.
2020년 1만례를 달성했으며, 이후 연간 2500여 건의 로봇수술을 시행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며 2024년 12월 국립대병원 중 처음으로 2만례를 돌파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송정한 원장, 황정원 수술부장, 최준영 로봇수술센터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심포지엄은 ▲비뇨의학과 로봇수술(좌장: 변석수 비뇨의학과 교수) ▲외과·흉부외과 로봇수술(좌장: 김덕우 외과과장) ▲산부인과·이비인후과 로봇수술(좌장: 이정렬 산부인과장) 순으로 각 분야의 로봇수술 성과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공유했다.
로봇수술은 고해상도 카메라로 10배 이상 확대 가능한 3차원 입체 영상을 통해 병변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고, 몸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로봇팔이 손의 움직임을 보조해 정교한 술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최소한의 절개, 출혈만으로 섬세한 수술을 할 수 있어 특히 암수술 분야에서 빠른 회복 속도나 적은 후유증 및 합병증 등이 장점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2만례 달성은 단순 시행 건수를 넘어 로봇수술의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혁신적인 성과들과 함께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먼저 비뇨의학과는 2023년 단독 진료과로서 로봇수술 1만례를 달성해 세계적 메카로 인정받고 있다.
병원 아웃컴북에 따르면 전립선암의 경우 전체 수술의 99% 이상이 로봇수술 중심의 최소침습 방식으로 이뤄진다.
신장의 일부만 제거하는 로봇부분신장절제술은 3기 신장암에서도 5년 암생존율이 94%에 이를 정도로 질적 수준이 높다.
갑상선암 분야에서는 목에 흉터를 남기지 않는 바바(BABA, B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로봇 갑상선절제술을 2008년 세계 최초로 시행했다.
새로운 부갑상선 기능 보전 수술법을 개발해 2019년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2024년 쿠웨이트 현지에서 중동 최초의 갑상선 로봇수술(양측 후이개접근법)을 원정 집도하는 등 다양한 성과로 로봇수술의 패러다임을 이끌어왔다.
산부인과는 자궁근종 혹은 난소낭종 절제술 등 자궁과 난소를 최대한 보존해 가임력을 유지하는 로봇수술과 자궁내막암이나 난소암 등 암치료 분야의 로봇수술에 특화돼 있다.
특히 로봇수술 술기를 향상시키려는 국내외 전문의들에 대한 교육을 선도하고 있으며, 2021년 30cm에 육박하는 거대 자궁근종을 로봇수술로 제거에 성공해 화제가 된 바 있다.
송정한 원장은 “국립대병원 최초의 로봇수술 2만례 달성은 로봇수술, 복강경을 아우르는 최소침습수술 분야에서 병원의 선도적 위치를 다시 한 번 입증하는 성과”라며, “앞으로도 의료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다양한 도전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