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제2회 인체질환극복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국제심포지엄’ 성료 > 의료/제약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9.17 (수)
  • 로그인

의료/제약

분당서울대병원, ‘제2회 인체질환극복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국제심포지엄’ 성료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진단 및 치료제 개발 관련 최신 연구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 공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9-16 16:05

본문

79177e7070be9d10d9bcf5377dcd3794_1758006146_2613.jpg

사진) 심포지엄 성황리 개최 모습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9월 12일(금) ‘제2회 인체질환극복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국제심포지엄’이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밝혔다.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에 살고 있는 모든 미생물의 유전정보를 말한다. 


최근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면역질환 등 전신질환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진단 및 치료제 개발은 다양한 난치성 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치료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마이크로바이옴사업단은 2023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 과제를 통해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중증 뇌혈관질환 진단 키트와 신규 치료제 발굴 연구(연구 책임자: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준엽 교수)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선도하는 전문가들과 함께, 과제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중앙대광명병원 오창완 교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죽상동맥경화 조절(이화여대 박영미 교수) ▲허혈성 뇌졸중에서 장내 유래 생체활성물질의 보호 효과(한림대 정혜리 박사)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마이크로바이옴 특성(분당서울대병원 김준엽 교수) ▲장내 미생물 대사산물과 뇌질환의 연관성(국립강릉원주대 박현봉 교수)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해외 연자로 초청된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의 제이슨 크로포드(Jason Crawford) 교수는 ‘인간-미생물 상호작용의 대사 연구(Metabolism at the Human-Microbe Interface)’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글로벌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 큰 호응을 얻었다. 


김준엽 교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인체질환 극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각광받는 가운데, 심뇌혈관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서의 연구 흐름과 미래 전망을 깊이 있게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게 되어 의미가 깊다”며, “이번 논의가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가로등
      광고문의


    영상갤러리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등록번호 : 경기아00088 발행인: 김판용 편집인:김판용 보도본부장:이홍우
경기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83번길 3-3(성남동) 대표전화 010-5281-0007
사업자등록번호 : 129-36-69027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07년 1월30일 웰빙뉴스창간일 : 창간일 2005년 8월
웰빙뉴스 서울지사 주소 변경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287-1 동암빌딩 4층 싸이그룹 02-529-3232

Copyright ⓒ 2014 www.iwellbeing.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