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 자궁내막증, 단일공 로봇수술이 복강경보다 난소기능 유지력 우수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강준혁 교수 연구팀과 삼성서울병원 김태중 교수 연구팀, SCI급 ‘임상의학저널’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3-08-16 13:43본문
사진) 강준혁 교수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강준혁 교수 연구팀과 삼성서울병원 김태중 교수 연구팀이 난소 자궁내막증 수술에서 단일공 로봇수술이 단일공 복강경수술보다 난소 기능 유지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발표해 SCI급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게재됐다고 16일 밝혔다.
강준혁 교수팀은 난소 자궁내막증 수술을 받은 1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공 로봇(78명) 또는 단일공 복강경(87명) 수술 후 ‘난소 기능’(Ovarian Function)을 비교 분석했다.
자궁내막증은 가임기 여성에게 월경통, 만성 골반통 및 난임 등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질환이다.
특히 자궁내막증 병변이 난소에 침범한 난소 자궁내막증은 그 자체로 난소 기능을 저하시키고, 이를 치료하기 위한 수술 또한 난소에 손상을 가해 수술 후 난소 기능의 저하를 유발하여 가임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술 시 난소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다양한 연구가 이뤄져 왔다.
이번 연구에서 난소 기능은 ‘난소 나이 검사’라고도 부르는 AMH(항뮬러리안호르몬) 수치 검사로 평가했으며 연구팀은 각각 수술 전과 수술 2주 후, 세 달 후 측정했다.
두 수술법 모두 배꼽에 약 2cm 구멍 하나만 뚫어 진행하는 최소 침습 수술법으로 각각 로봇 팔과 손으로 수술하는 방식이다.
강 교수팀의 분석 결과 단일공 로봇수술이 단일공 복강경수술에 비해 초기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난소 기능 보존에 더 효과가 있었다. 단일공 로봇수술은 수술 3개월 후 AMH 수치가 24%, 단일공복강경은 34% 떨어졌다.
두 경우 모두 난소 기능이 떨어졌지만 로봇수술에서 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강준혁 교수는 “초기 자궁내막증 환자의 수술에서 단일공 로봇수술이 기존의 단일공 복강경 수술과 비교해 난소 기능 유지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단일공 로봇수술이 다양한 기술적인 장점들로 인해 자궁내막증으로 고통받는 여성들에게 가임력 보존 측면에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이전글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이정렬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AI) 기반 체외수정 시술 배아 선별 기술 임상연구 돌입 23.08.17
- 다음글건선 중증도 높을수록 실명 부르는 ‘포도막염’ 위험도 높아진다. 23.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