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심혈관질환, 유방촬영과 골밀도검사로 예측 가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8-09-20 10:16본문
*(왼쪽부터)순환기내과 윤연이 교수,내분비내과 김경민 교수,영상의학과 윤보라 교수,순환기내과 서정원 교수
여성 건강검진에서 유방동맥석회화 및 골감소증·골다공증이 확인되는 경우 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순환기내과 윤연이, 내분비내과 김경민, 영상의학과 윤보라, 순환기내과 서정원 교수)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심혈관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임상지표에 대해 분석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여성을 대상으로 유방동맥의 석회화 유무, 골감소증의 유무가 관상동맥죽상경화반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우선, 2,100명 중 유방동맥석회화가 발견된 여성은 199명(9.5%), 골감소증·골다공증으로 진단된 여성은 716명(34.1%)이었다.
유방동맥석회화가 관찰되지 않은 그룹의 경우 14%에서만 관상동맥죽상경화반이 확인된 반면, 유방동맥석회화가 관찰된 그룹에서는 33%에서 관상동맥죽상경화반이 확인됐다.
또한 골감소증·골다공증이 관찰되지 않은 그룹의 경우 13%에서만 관상동맥죽상경화반이 확인됐지만, 골감소증으로 진단된 그룹에서는 22%에서 관상동맥죽상경화반이 확인됐다.
이를 토대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유방동맥석회화가 발생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관상동맥죽상경화반 발생 위험이 3.02배 증가, 골감소증·골다공증으로 진단된 여성도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발생 위험이 1.91배 증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여러 위험인자를 함께 분석한 결과 유방동맥석회화의 유무가 관상동맥죽상경화반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관상동맥죽상경화반은 하루아침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발생하는데, 콜레스테롤과 같은 이물질이 심장동맥벽에 쌓여 점차 두꺼워지고 딱딱해지면서 결국 심장동맥을 좁게 만든다.
따라서 관상동맥죽상경화반으로 인한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질환이 유발되기 전에 이를 예방해야 한다.
더욱이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여성에서의 심혈관질환 유병률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생명에 큰 위협을 줄 수 있는 심혈관질환에 대한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해 미리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그런데 여성의 경우 임상적 위험인자만을 활용해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지적돼 왔었다.
경동맥초음파 검사 또는 관상동맥석회화를 확인하기 위한 심장 CT를 활용하면 보다 정확하게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하지만, 이러한 검사는 국민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돼 있지 않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아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없었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연구진은 국민건강검진에 포함돼 있는 유방촬영 및 골밀도검사를 활용해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순환기내과 윤연이 교수 등 연구진들은 “이번 연구결과 유방촬영 및 골밀도검사를 통해 이미 관상동맥경화반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여성, 즉 장기적으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이 높은 여성을 선별할 수 있게 됐다”며 “지금까지 심혈관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예측하고 치료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로 남성 위주로 진행돼 여성의 심혈관질환에 대해서는 어려움이 많았는데, 유방촬영이나 골밀도검사를 통해 그 위험도를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새롭게 확인됐다”고 전했다.
실제로 유방촬영이나 골밀도검사는 국민건강검진을 비롯해 일반적인 여성 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돼 있으면서 위험도가 낮고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때문에 이를 통해 추가적인 비용이나 방사선 노출 없이 여성의 심혈관질환을 조기에 예측하며 이전보다 빨리 진단받고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심장 관련 학술지 JACC Cardiovascular Imaging에 게재됐다. 유광식 기자
- 이전글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발전하는 4기 대장암 치료법-하이펙 요법 18.09.20
- 다음글심방세동, 혈압 ‘120~129/80mmHg미만’으로 관리해야 합병증 예방 18.09.18